Search
Duplicate
📕

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비법서(인터뷰 자료)

Notion 팁: 페이지를 생성할 때는 명확한 제목과 관련된 내용이 필요합니다. 인증된 정보를 사용하고, 페이지 주제를 확실히 하고, 주요 이슈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세요.

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비법서(인터뷰 자료)

본 문서는 면접과 필기시험을 여러 번 보면서 뚝배기가 깨져 본 결과 신입 면접은 어느정도 패턴을 공유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므로, 패턴을 공유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이 문서는 본인이 면접/필기시험 시 답을 하기 위한 공부를 한 기록을 적당히 읽기좋게 고친 문서이므로 개념설명보다는 실제 나온 문제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답도 대충 써있거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문이 가면 직접 코드를 짜 보거나, 찾아보는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내가 공부하려고 끄적인 것들을 모아놓은 것이므로, 다른 사람이 보기에 이해가 안되는 서술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런 건 저에게 물어보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서버 프로그래머 면접관련 질문도 업데이트 예정중 입니다.
또한 이건 2020년대 기준으로 작성된 면접 예시들이기 떄문에 추가적으로 제보해주시면 업데이트 되어 공익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겠습니다.
꼭 원하시는 회사에 취업하시길 바라며 건투를 빕니다.
이준재 : 010-3177-7001
email : eazuooz@gmail.com
목차
3. 주관적 팁 모음(주관성, 비정확성 주의)
4.
Unity & C#

1. 면접, 필기시험 준비를 위한 공부내용 정리

1.1 객체지향과 C++

한줄평 : 면접관이 시험으로도 질문으로도 제시하기 만만한 분야입니다. 그만큼 자주 나옵니다. 정의를 암기해 가는 것이 좋습니다.
메서드 == 함수 입니다.
C++ 객체지향언어는 아니고 멀티 패러다임( 객체지향과 절차지향 두가지를 전부 지원하기 떄문이다.)

1.1.1 절차적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의 차이점

절차적 프로그래밍(Procedural Programming)
프로그램 설계 시 기능 구현을 위해 프로시저(함수)를 중점으로 사용하여 구조/로직을 설계하는 방법
객체지향 (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프로그램 설계 시 프로그램을 수많은 객체로 나누고 이 객체들의 상호작용으로 서술하는 방법

1.1.2 객체지향의 장점

코드 재사용이 용이함. 클래스를 기능별로 분할하였기에 모듈화도 용이하고 상속을 통해 높은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 객체를 만들어두면 재사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뛰어나다. (게임은 늘 갈아엎고 뒤집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에 특히 민감하다)

1.1.3 객체지향의 특징

캡슐화(encapsulation)

클래스를 통해 변수와 함수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다.
하나의 기능을 하는 요소들을 모두 한 캡슐에 모아둔 것 같다고 하여 캡슐화이다.
같은 역할을 하는 변수, 함수들을 모아두었기 때문에 의존성, 커플링이 줄어든다. 그로 인해 관리가 용이해진다.

정보은닉(Information hiding)

프로그램의 세부 구현을 감추는 것.
private 접근자를 통해 변수와 객체를 감추고, public 접근자로 선언된 메소드(함수) 로만 접근을 허용하여 접근을 제한하는 것.
왜? 의도하지 않은 접근을 제한하기 위하여 (= 설계한 클래스를 다른 사람이, 혹은 본인이 잘못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x) 다른 사람이 설계한 클래스의 변수에 직접 접근하여 값을 바꾸는 것을 막는다.
이러면 코드 사용자는 프로그램의 내부 구현에 신경 쓸 필요 없이 메소드를 통해 원하는 기능을 호출하기만 하면 된다.
제대로 쓰기엔 쉽게 설계하고, 잘못 쓰기엔 어렵게 설계하라.
또한, 객체들 끼리 서로의 구현과 상태를 상관하지 않고 단지 사용하게만 함으로써 의존성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속(Inheritance)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변수, 함수를 물려받는 것.
자식 클래스는 자신만의 특성을 오버라이딩을 통해 디테일하게 구현한다.
왜? 다형성과도 연관되는 질문인데, 부모와 자식을 다형성으로 엮어놓으면 부모에서 추상적인 형태를 주고, 자식에서 세밀화하여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생산성, 유지보수성 또한 올라간다. (유지보수성의 경우 무분별한 복사-붙여넣기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붙으로도 간단하게 상속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잖아? 라는 후질문이 들어오면 ) -> 또한 나중에 기능 개선 시 ‘교체’가 가능하단 장점이 있다. ex) A사의 타이어 객체를 사용하고 있다가, B사의 타이어 객체로 개선하고 싶으면 B사는 ‘타이어’를 부모로 상속받아 자신에 맞게 구현하기만 하면 된다.
카피-페이스트로 만들어진 코드들은 각각이 다른 코드이므로 개선이 필요할 때 구현을 따로따로 해줘야 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추상화(abstraction)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묶어 이름을 붙이는 것

1.1.4 클래스

클래스란?

기본적이 의미는 사용자 정의 자료형이라고 보면 된다.
C++에서 객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객체의 상태/특성을 정의하는 일종의 설계도 (청사진, Blueprint)이며, 객체화했을때 (인스턴스화  라고 한다) 객체가 된다.
정적할당 또는 동적할당으로 실제 메모리에 해당 자료형으로 만든 영역이 할당되었을때 하나하나를 객체(인스턴스)라고 한다.
클래스 != 인스턴스이며, 클래스가 인스턴스화 해야 인스턴스(객체)가 될 수 있다.
변수와 메서드를 가진다.

인스턴스(객체)

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실제로 메모리에 할당된 것

구조체/ 클래스에서 바이트 패딩

패딩이란 구조체나 클래스를 실제로 메모리에 올릴 때, 성능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메모리를 할당하여 끼워 넣는 것을 의미한다.
패딩을 하는 이유(인터넷 펌)
메모리에서 CPU 레지스터로 한번에 읽어오는(fetch) 데이터의 크기 때문에 패딩이 일어납니다. 32비트 머신에서는 4바이트 씩이고 64비트 머신에서는 8바이트 씩이겠지요.
이렇게 선언을 하면 메모리 맵상의 어딘가에 영역이 잡히겠죠
그런데 패딩이 없다고 가정하면,
----------------------------------------------------
|a|bb|cccc|a|bb|cccc|a|bb|cccc|a|bb|cccc|...
----------------------------------------------------
이런식으로 잡히겠죠...
fetch는 4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니깐 먄약 첫번째 c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2번의 fetch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0번째 바이트부터 3번째 바이트까지 4바이트를 읽어서 그중에 3번째 바이트를 먼저 취하고,
4번째 바이트부터 7번째 바이트까지 4바이트 읽어서 그중에 4~6번째 바이트를 취해서,
둘을 합해 최종 c의 값을 만드는 결과가 생기지요~
때문에 컴파일러가 패딩을 넣는 겁니다.
한줄요약 : 구조체/클래스 패딩은 구조체 안의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로 정해진다.
만약 구조체 안에 구조체가 들어가 있다면, 그 구조체 안에서 가장 큰 자료형의 크기로
정해진다.
만약 설정이 8byte 패딩으로 되어 있는데 구조체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면, short-int를 하나로 묶어서 6바이트 + 2바이트 패딩(총 8바이트)
int + 패딩 4바이트 (총 8바이트)
식으로 묶는다.  (단, short는 2bytes, int는 4bytes일 때의 풀이이다)
만약 설정이 4bytes 패딩이라면,
short a;   //4bytes
int b;     //4bytes
int c;     //4bytes
총 12바이트가 된다.
예시
struct Name //2byte { char name[2]; };
C++
복사
-🡪 답은 2이다. 왜냐면 패딩은 레지스터 단위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인데 char[2] 는 2바이트이며, 다음에 접근할만한 요소가 없기 때문에 2만 차지해도 되기 때문이다(만약 int형 변수가 뒤에 하나 더 선언되어 있다면 총 용량은 2 + 2(패딩) + 4였을 것이다.)
struct Point //8 byte {//8 short point_x; int point_y; }; **//short + 2byte / int** struct Player // 20 byte { char rank; short hp; short mp; Point point; Name name; };
C++
복사
Point의 제일 큰 타입이 int이므로, 4byte 기준으로 패딩이 잡힘.
char + short + 1byte 패딩/ short + 2byte 패딩/ 8byte(point) / 4byte (name)
mp와 point는 따로 용량을 잡는다.
struct long_Point //16 { double point_x; int point_y; };
C++
복사
double = 8bytes이므로 총 메모리 용량은 8+8 = 16bytes
소켓 프로그래밍 중 패킷 구조체를 구현할 때 #pragma pack(push, 1)을 쓰는 이유도
패딩에 있다.
패킷을 받은 쪽은 패킷을 읽어서 값을 복구해야 하는데(캐스팅을 통해), 패딩이 들어가 있으면 잘못된 크기를 가지고 캐스팅을 하게 되므로 잘못된 값이 복구되기 때문이다.

1.1.5 다형성

다형성

객체지향에서 다형성은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C++에서의 다형성은 상속에 의한 다형성,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템플릿에 의한 다형성 등으로 구현된다.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함수라도 인자(Parameter) 타입이 다르거나, 개수가 다르면 다른 함수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음. (주의 : 리턴 타입은 오버로딩과 아무 상관이 없음. 리턴 타입으로 함수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
오버라이딩 -> 상속 관계에서 부모의 메서드를 자식이 자기에 맞게 재정의 해서 사용한다.
템플릿 -> 클래스, 함수를 타입에 독립적이게 만드는 도구입니다. 템플릿을 사용하면
여러 타입에 대응되는 단 하나의 객체나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템플릿은 C++ 프로그래밍 언어의 한 기능으로, 함수와 클래스가 제네릭 형과 동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 함수나 클래스가 개별적으로 다시 작성하지 않고도 각기 다른 수많은 자료형에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템플릿의 타입은 컴파일 타임에 결정되어 인스턴스화 하기 때문에 컴파일타임에 컴파일러가
실제 코드 구현부를 모두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인스턴스화는 컴파일러가 컴파일 시에 요구되는 타입으로 클래스 정의 코드를 생성해내는 것입니다. 즉 타입을 지정하여 그 타입을 사용하는 클래스를 만들어냅니다.
(ex. 만약 float타입으로 템플릿 클래스를 사용했다면 컴파일 타임에 컴파일러가 float 타입의 클래스를 만들어낸다, 이를 인스턴스화라고 함)
그렇기 때문에 템플릿 클래스의 함수 구현은 헤더 파일에 들어가야 합니다.
혹은 헤더 파일에서, 템플릿 정의부분 아래에 cpp파일을 인클루드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cpp파일을 빌드 리스트에 넣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1.1.6 포인터 변수와 참조, Malloc과 New

참조자(reference)

실체가 있어야 하며 선언 즉시 할당되어야함. 즉 NULL, nullptr 로 할당 불가능.
레퍼런스는 초기화리스트를 사용하여 먼저 초기화해야하는데(modren c++의 초기화리스트와는 다름. 생성자의 초기화리스트를 의미함), 이는 생성자 내부에서의 초기화는 먼저 null로 생성한 뒤 값을 넣는 방식이기 때문. 또한 한번 할당하면 다른 곳에 재할당 불가능

포인터(Pointer) 타입 변수

주소값을 저장할수 있는 타입의 변수
실체가 없이 NULL이 가능하며, 언제든 할당할 수 있음. 또한 동적 메모리 할당에 사용함.
참고로 초기화리스트는 상수, 참조자, has-a관계의(포함한) 클래스 초기화 에 사용해야 한다.
Malloc과 New의 차이점(C 스타일 동적 할당과 C++ 스타일 동적 할당의 차이점)
Malloc : 단순한 메모리 할당. 할당 시 메모리의 사이즈를 입력해서 할당받음. C스타일
malloc은 void* 를 리턴하기 때문에 원하는 타입으로 캐스팅해서 사용
New : 할당과 동시에 초기화 가능(초기값을 줄 수 있음).
생성자 호출됨(즉 C++ 객체 할당에 사용함). 오버로딩 가능(new도 연산자이다)
할당 시 객체의 크기를 입력하여 할당받음. C++ 스타일

댕글링 포인터

포인터 변수를 delete나 free 할 시에 메모리가 할당 해제되었다 해도 변수가 가리키는 주소값이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포인터 변수를 다시 참조하려고 하면 미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서 메모리를 해제하는 구문 이후, 해당 포인터 변수를 nullptr로 바꿔주고 사용할 때마다 nullptr인지 체크하는 테크닉이 필요하다.
비주얼 스튜디오의 경우, 메모리를 해제하면 0x0823같은 메모리로 치환하여 강제 크래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의도적인 크래시가 미정의 동작보다 차라리 안전하기 때문이다)
단,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무리 p를 할당 해제 후 nullptr로 치환하였다고 해도, p를 참조하는 포인터 변수가 있었다면(g와 같은) 이는 추적하기 힘든 메모리 누수/버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마트 포인터를 쓰면 이러한 문제를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다.

스마트 포인터

이전의 C++에서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new/delete를 이용해 포인터 변수를 정의하여 사용하여야 했다.
이러한 포인터를 원시 포인터(날 포인터, raw pointer)라고 한다.
c++에서의 메모리는 프로그래머가 책임지고 delete를 통해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반환해야 하였고, 메모리를 반환하지 않아 메모리 누수(memory leak)가 발생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타이밍에 메모리를 delete하여 댕글링 포인터(dangling pointer)를 발생시켜 프로그램의 안전을 심히 위협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였다. 특히 메모리 버그는 찾기 겁나게 어려우므로 항상 문제가 되었다.
스마트 포인터는 C++11에서 공식적으로 추가된 기능으로, 스마트 포인터를 사용하면 객체가 더는 필요하지 않을 때 객체에 할당된 메모리가 자동으로 해제된다. 즉 메모리 누수의 가능성을 영구적으로 제거한다.
C#이나 Java처럼 Garbage Collector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레퍼런스 카운트를 통하여 제거 시점을 결정한다.
스마트 포인터는 <memory> 헤더 안에 정의되어 있다.
스마트 포인터와 원시 포인터의 차이점
1. 스마트 포인터는 자유 공간(new/delete로 할당한 공간, malloc/free로 할당한 공간은 힙 공간이라고 한다. 서로 크게 다른 개념은 아닌 것 같다.)에 할당한 메모리의 주소만 저장할 수 있다.
2. 원시 포인터에서 하던 증가, 감소 같은 산술 연산은 스마트 포인터에서 할 수 없다.

unique_ptr<T>

unique_ptr<T>는 타입 T에 대한 포인터처럼 사용되며, 언제나 유일해야 한다. 즉 둘 이상의 unique_ptr이 같은 주소를 가질 수 없으며, unique_ptr은 복사될 수 없다. (유일성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
unique_ptr을 옮기려면 오직 소유권을 이동시키는 행위만이 허용된다.
utility헤더에 정의된 std::move()를 사용하면 unique_ptr객체에 저장된 주소를 다른 unique_ptr객체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소유권을 이전하면 기존의 unique_ptr 객체는 무효화(Invalidate)된다.
그러므로, 객체에 대한 단일 소유권만 허용하고 싶을 때는(반드시 하나만 가지고 사용하고 싶을 때는) unique_ptr<T>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unique_ptr의 사용방법
std::unique_ptr<type> name {new type()};
ex)
std::unique_ptr<std::string> pname {new std::string {"Algernon"}};
auto pname = std::make_unique<std::string>("Algernon");
auto pstr = std::make_unique<std::string>(6, '*');
스마트 포인터는 원시 포인터와 마찬가지로 역참조를 통해 객체에 접근할 수 있다.
std::cout < *pname << std::endl;
임의의 크기로 스마트 포인터 배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int len = 10;
std::unique_ptr<int[]> pnumbers{new int[len}};
std::unique_ptr<int[]> pnumbers = std::make_unique<int[]>(len);
unique_ptr 객체는 복제가 불가능 하므로, 함수에 값으로 전달할 수 없다. 만약 unique_ptr객체를 함수의 인수로 쓰고 싶다면 인수를 참조 매개변수로 받아야 한다.
unique-ptr 객체는 복제될 수 없지만 암묵적 이동 연산(implicit move operation)에 의해 반환이 가능하므로 함수에서 반환될 수 있다.
reset() -> 스마트 포인터가 가리키는 원본 객체를 소멸, unique_ptr은 해제된다.
ptr.reset(new std::string{"Fred"})와 가이, reset의 인자에 새 객체를 넣으면 스마트포인터와 새 객체를 연결해준다.
release() -> 스마트 포인터가 가리키는 원본 객체의 소유권을 해제하고, 원본 객체를 리턴
unique_ptr 객체끼리 비교하고 싶을 때는 두 객체의 get()을 호출하여 반환된 주소값을 비교한다.

shared_ptr<T>

shared_ptr<T>객체는 타입 T에 대한 포인터처럼 행동한다.
unique_ptr과는 반대로 shared_ptr<T>는 객체를 여러 shared_ptr<T>와 공유할 수 있다. shared_ptr<T>는 레퍼런스 카운팅 방식을 사용하여 메모리를 관리하는데 새로운 shared_ptr<T>객체가 주소를 공유받을 때 마다 레퍼런스 카운트가 증가하며, 공유를 받았던 shared_ptr 객체가 소멸되거나, 다른 주소를 할당받거나, nullptr을 할당받으면 해당 객체의 레퍼런스 카운트가 감소한다. 만약 레퍼런스 카운터가 0이 되면(해당 주소를 가리키는 shared_ptr<T>객체가 없으면) 해당 주소를 위한 힙 메모리가 자동으로 해제된다.
새로운 shared_ptr을 정의하면 두 가지 할당을 받게 된다.
첫 번째는 shared_ptr이 가리키는 원본 객체를 위한 힙 메모리를 할당하게 된다.
두 번째는 스마트 포인터의 레퍼런스 카운트를 위한 컨트롤 블록을 위해 스마트 포인터 객체와 관련된 힙 메모리를 할당받게 된다.
shared_ptr의 사용방법
std::shared_ptr<double> pdata {new double(999.0)};  일반적인 할당 방법
std::shared_ptr<double> pdata = std::make_shared<double>(999.0);  일반적인 할당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추천되는 방법이다.
std::shared_ptr<double> pdata2{pdata};    다른 shared_ptr로 초기화하는 스마트 포인터. 레퍼런스 카운트가 증가한다.
double *pvalue = pdata.get()   스마트 포인터의 원시 포인터 객체를 반환한다. 반드시 사용해야 할 경우가 있을 때만 이렇게 사용해야 하며, get()을 통해 반환한 원시 포인터를 이용해서 shared_ptr<T>를 생성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한 행동이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name.reset(new std::String{"Jane Austen"});
reset()을 인수없이 호출하면 레퍼런스 카운트가 1 감소하며, 해당 shared_ptr 객체가 아무것도 가리키지 않게 된다.(unique_ptr의 동작과는 좀 다르다, 물론 레퍼런스 카운트가 1이었다면, 해당 shared_ptr 객체를 reset하는순간 스마트 포인터가 해제된다.)
reset()의 인수로 원시 포인터를 전달하면 shared_ptr이 가리키는 주소를 바꿀 수 있다.
shared_ptr끼리의 비교는 ==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할 수 있다. 단 두 객체가 모두 nullptr일 수 있으므로, 같은 객체를 가리키는지만 체크하면 안 된다.
스마트 포인터는 암묵적으로 bool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객체가 있으면 true, nullptr이면 false)
if((pA == pB && (pA != nullptr)) 혹은 if((pA == pB && pA))로 비교할 수 있다.
pname.use_count() -> use_count()는 해당 shared_ptr이 가리키는 객체의 레퍼런스 카운트를 반환한다.
shared_ptr이 nullptr을 가리키고 있다면 0을 반환한다.
.unique() 함수는 shared_ptr이 유일한지(true), 복제본이 있는지(false) 확인할 수 있다.

weak_ptr<T>

weak_ptr는 shared_ptr의 상호참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weak_ptr은 shared_ptr객체에서 생성하여 연결하며, 같은 주소를 가리킨다.
단 weak_ptr은 연결된 shared_ptr객체의 레퍼런스 카운트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객체의 소멸에 관여하지 않는다.
shared_ptr의 메모리가 레퍼런스 카운트가 0이되어 해제되더라도 연관된 weak_ptr 객체는 남아있게 된다.

RAII와 동적메모리 자원 관리

RAII 개념

RAII (Resource Acuquisition Is Intialization) 는 C++에서 강조되는 디자인 테크닉 중 하나이다. "자원 획득(Resource Acquisition)은 초기화(Initialization)이다" 라고 직역할 수 있는데, 한글로 직역하여도 바로 와닿지는 않을 것이다.
좀 더 풀어서 얘기하자면, 자원 획득을 객체 초기화 시에만 하라, 혹은, 자원 획득이 필요한 경우, 자원 획득을 담당하는 클래스를 만들어 그 클래스의 생성자에서만 자원 획득을 하라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동적 메모리 할당, 파일 열기, 락 등 자원 획득을 하는 일이 많은데, 이러한 자원 획득을 담당하는 클래스를 만들어 그 클래스의 생성자에서만 자원 획득을 하라고 강조하는 말)
cppreference에 따르면, RAII는 자원의 생애주기(life cycle, 자원 획득과 자원 해제)를 객체의 생애(lifetime)에 바인딩시키는 기법이다. (원문은 밑에) 일단 이 문장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생애 주기, 객체의 생애, 왜 두개를 바인딩(결합)시켜야 하는 지가 정리되어야 할 듯하다.

RAII의 필요성

RAII 디자인 패턴은 자원의 생애주기를 객체의 생애에 결합시킨다는 것이다. 좀 더 풀어서 말하자면, 자원을 사용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생성자에서 자원 획득을, 소멸자에서 자원 해제를 하는 자원 관리용 클래스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패턴이다. 즉 객체의 시작과 끝은 컴퓨터가 알아서 해주는 이점을 활용하여, 자원 관리용 클래스를 만들어 생성자에서 자원 획득을, 소멸자에서 자원 해제를 하게한다면 자원 관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자원의 생애 주기는 객체의 생애와 결합된다. 객체의 생애는 런타임이 알아서 잘 관리해준다고 하였다. 즉 그렇기에 앞으로는 객체와 바인딩된 자원은 런타임이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std::unique_ptr

std::unique_ptr은 스마트 포인터의 일종으로, 동적 메모리 할당된 객체의 소유권을 가진다. 따라서 std::unique_ptr 변수가 소멸되거나 새로운 객체의 소유권을 얻으면, 기존 객체를 자동 소멸시키고 동적 메모리를 해제한다.
std::unique_ptr은 하나의 동적 할당된 객체를 소유하거나, 동적 할당된 객체들의 배열을 소유할 수 있다.

std::shared_ptr

std::shared_ptr은 스마트 포인터의 일종으로, 동적 메모리 할당된 객체의 소유권을 가진다. 다만 std::unique_ptr과의 차이점은 메모리 자원의 소유권을 여러 std::shared_ptr이 공유하여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자원의 소유권을 공유한 모든 std::shared_ptr 변수가 소멸되면, 기존 객체는 자동 소멸되고 동적 메모리가 해제된다.
std::shared_ptr은 하나의 동적 할당된 객체를 소유하거나, 동적 할당된 객체들의 배열을 소유할 수 있다.

1.1.7 가상함수

추상 클래스(abstract)

추상 클래스는 보다 구체적인 클래스가 파생될 수 있는 일반 개념식 역할을 합니다.
C++에선 순수 가상함수가 하나라도 포함된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로 변환됩니다.
추상 클래스는 인스턴스화 할 수 없습니다.
순수 가상함수는 내용이 없이 형식만 정의된 함수입니다. ‘이 형식대로 만들어서 사용하라’는 의미로, 자식 클래스는 이를 반드시 오버라이드 해야 합니다.
순수가상함수는 이렇게 선언합니다.
virtual 키워드
virtual 키워드는 메서드, 속성, 인덱서 또는 이벤트 선언을 수정하고 파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도록 허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 메서드는 이를 상속하는 모든 클래스에서 재정의할 수 있습니다. 가상 멤버의 구현은 파생 클래스의 재정의 멤버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상속 관계에서 자식이 해당 함수를 오버라이딩 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부모 함수에 virtual이 없으면 자식이 override 할 수 없다. 또한 virtual 키워드를 사용했을 시 런타임에 가상함수 테이블이 생성되어 올바른 함수를 찾아갈 수 있게 만든다. 상속 관계에서 부모의 소멸자엔 반드시 virtual을 붙여야 하는데, 이것은 소멸 시에 virtual이 없으면 올바른 자식 객체까지 찾아가지 못 하여 부모의 부분만 소멸되고 자식의 부분은 남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메모리 누수, 오염으로 이어진다)
객체 생성 및 소멸 과정에서는 절대 생성자/소멸자에서 가상 함수를 호출하면 안 되는데,
자식 객체 생성 시에 가상함수를 호출하게 되면 부모가 먼저 생성될 때, 자식 객체는 아직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자식 객체는 자신이 부모 클래스인 것처럼 동작한다. 즉 부모 클래스의 virtual이 호출된다. 그래서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미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Undefined behavior)

가상 함수 테이블

가상 함수 테이블은 클래스마다 존재한다.(인스턴스마다가 아님)
각각의 인스턴스들은 해당 클래스의 가상함수 테이블을 가리키는 포인터 변수를 하나씩 가진다.
즉 가상함수가 있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메모리 크기를 구할 땐 이 포인터 변수의 크기를 더해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32bit 환경이면 4bytes, 64bit 환경이면 8bytes)
상속 관계의 클래스들은 가상함수 테이블을 사용해 오버라이드 된 함수를 찾아간다.
가상함수테이블은 해당 클래스의 모든 가상함수의 주소값을 제공한다.
vtable에는 해당 가상함수들의 주소값이 들어있다. 상속 관계가 A->B면
클래스 A의 vtable에는 A의 가상함수들
A::aaa(void)
클래스 B가 만약 A의 aaa함수를 오버라이딩 했다면 B의 vtable에는
B:aaa(void)   식으로 가상함수 테이블의 내용이 작성된다.
실제 코드로 보면
자식 클래스의 가상함수 테이블에서는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드 된 함수를 가리키는 것을 볼 수 있다.

1.1.8 C++ 스타일 캐스팅

단순히 (int*) 와 같이 캐스팅하는 C스타일과 달리, C++은 4개의 캐스팅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const_cast

해당 포인터 객체의 상수성을 제거한다.
상수성은 항상 유지되어야 하지만, 외부의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인자값으로 비상수성 객체를 요구한다던지 하는 불가피한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사용한다.
단, const_cast를 사용하는 것은 해당 객체를 인자로 받는 함수 내에서 해당 상수변수를 수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을때만 사용해야 한다. 만약 함수 내에서 객체의 내용이 바뀐다면, 상수 제한을 잠깐 푸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수성 자체를 잃어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럴 땐 유도리 있게 사용할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의 전체 구조를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static_cast

일반적인 캐스팅 방식
static cast의 단점은, 런타임 타입 검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static_cast는 업캐스팅과 다운캐스팅을 둘 다 할 수 있는데,
계층 구조가 실제로 유효한지는 검사하지 않는다.
즉 자식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로 업캐스팅하여 사용하다가(다형성을 위해),
다시 자식 클래스로 다운캐스팅하는 것은 유효하며 정상적인 사용법이지만,
순수한 부모 클래스인 객체를 자식으로 다운캐스팅하여 사용하는 것도 막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캐스팅하게되면 메모리 침범 등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다.
계층 구조 간 안전한 캐스팅을 하려면 dynamic_cast를 사용한다.
대신 dynamic cast는 virtual 함수가 하나라도 있어야 함. vtable에 RTTI가 저장되기 때문에.
RTTI : RunTime Type Information

dynamic_cast

런타임 타입 검사를 수행하는 안전한 다운캐스팅에 사용하는 캐스팅 방법이다.
다이나믹 캐스트는 타입이 유효한지 체크하기 위해 런타임에 타입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런타임 비용이 높아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사실 쓰는것도 못봤다.

reinterpret_cast

타입을 강제 변환한다. double을 byte로 변환하는 등의 임의 변환이 가능하다.
타입을 비트 단위로 1:1 변환시킨다. 그렇기에 원본 데이터가 소실되거나(데이터가 짤리거나), 원하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1.9 STL 컨테이너

벡터(Vector)

동적 배열(크기조절 가능), 배열과 같이 연속된 자료구조이므로 캐시 친화적이다. 임의접근반복자(random access iterator)를 사용하므로 배열의 원소에 즉시 접근 가능하다.
(반복자를 5가지를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emplace를 하면 복제 과정 없이 바로 원소를 삽입할 수 있어서 push_back보다 비용이 절감된다.
반복자 무효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반복자 무효화
컨테이너의 메모리가 재할당 될 때(vector resize, push_back 등)나 요소 삭제를 하는 등의 동작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STL의 erase를 사용한다면 erase한 원소 포함해서 뒤의 원소를 가리키는 모든 반복자가 무효화됩니다. 이는 삭제 후 뒤에 있는 요소를 모두 땡겨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단, erase 함수는 다음주소를 가리키는 iterator를 리턴해주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하여 순회를 계속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for문과 같이 iter를 계속해서 ++해주는 코드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벡터 요소의 삽입
삽입한 위치 뒤를 가리키는 반복자들은 무효화된다(나머지 원소를 전부 밀어줘야하기때문에), 삽입 앞은 재할당에 따라 무효화일수도있고 아닐수도있으나 안전한 프로그래밍을 위해선 무효화라고 보는게 맞다(삽입 앞은 원소의 위치 변동이 없으나, 메모리 재할당(크기 초과로 인한 재할당 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벡터 요소의 삭제
삭제 뒤는 무효화(뒤에 있는 원소들을 땡겨줘야하니까), 삭제 앞은 무효화되지 않음
(재할당이 일어날 일이 없다)

리스트(List)

단/양방향 반복자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임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어떤 원소에 접근하기 위해선 해당 위치까지 순회해야 한다.(list의 advance 함수는 임의 접근처럼 보이지만 실 구현은 순회로 구현되어 있다) 삽입과 삭제가 상수 시간을 가진다.  포인터를 사용하여 서로를 연결. 삽입과 삭제가 빈번한 구조에 사용하기 좋다.

맵(Map)

균형이진트리의 일종인 레드-블랙 트리로 구현되어 있다. 키-값으로 저장하고 키로 검색하여 값을 찾는다. 이진 탐색을 사용하므로 검색이 빠른 편이다. 삽입, 삭제 시 균형트리이기 때문에 균형을 유지하는데에 오버헤드가 생긴다.
맵에 삽입하는 경우 이미 있는 key라면 값을 삽입하지 않고 이미 키가 있는 해당 노드의 키/값을 리턴한다.
정확히는 map은 insert를 할 경우 무조건 pair를 리턴하는데
pair<  std::pair(key,value) ,   bool >  을 리턴한다. bool은 해당 key가 이미 맵에 있느냐, 없느냐를 의미한다. 해당 키가 있으면 false, 없으면 true리턴.  앞의 pair는 키,값이다.
unordered_map : 해시맵. 검색이 빠르다(해시 함수로 인한 상수 시간 탐색 가능). 여유 공간이 실제 공간보다 많이 필요하다. 공간을 적게 잡으면 충돌이 자주 일어난다.
해시맵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개방 주소법, 체이닝이 있다.
해시맵의 구현법 별 장점
체이닝(Chaining)의 장점
→ 연결 리스트만 사용하면 된다. 즉, 복잡한 계산논리를 사용할 필요가 개방주소법에 비해 적다.
→ 해시테이블이 채워질수록, Lookup 성능저하가 선형적으로 발생한다. (그림 참조)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의 장점
개방주소법(Open Addressing)의 장점
→ 체이닝처럼 포인터가 필요없고, 지정한 메모리 외 추가적인 저장공간도 필요없다.
→ 삽입, 삭제시 오버헤드가 적다.
→ 저장할 데이터가 적을 때 더 유리하다.
개방 주소법의 탐색 종류
선형 탐색(선형 조사)(Linear Probing): 해시충돌 시 다음 버켓, 혹은 몇 개를 건너뛰어 데이터를 삽입한다.
제곱 탐색(Quadratic Probing): 해시충돌 시 제곱만큼 건너뛴 버켓에 데이터를 삽입(1,4,9,16..)
이중 해시(Double Hashing): 해시충돌 시 다른 해시함수를 한 번 더 적용한 결과를 이용함

언오더드 맵(unordered map)

C++ 11 이전엔 정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std::map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감수해야 했다. 또는 비표준 라이브러리의 hash_map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했다. 그러다 표준에도 해시맵이 필요하다는 말이 많아졌는지 C++ 11에서 std::unordered_map이라는 컨테이너가 등장했고, 기존의 std::map과 달리 이진 탐색트리가 아닌 해시 테이블로 구현되어 있다. 때문에 요소를 자동으로 정렬하지 않으며 요소의 검색, 삽입, 삭제 연산이 평균적으로 상수 시간에 가능하다. (std::set, std::unordered_set 도 동일한 관계)  [unordered_map의 내부 동작]기본적으로 해시맵과 동일하므로 해시맵의 동작 방식을 살펴보자. 앞으로 해시맵 또는 그냥 맵(map)이라고 부르자. 일단 map이라는 것은 key에 value를 매칭시켜 pair(쌍)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연관 컨테이너이다.  따라서 각 요소는 pair<key, value> 형태로 저장되며 우리는 key를 통해 value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까진 맵의 기본적인 특징이고, 해시맵의 특징은 바로 key를 통한 value로의 접근이 빠르다는 것이다. 그 이유가 바로 hash 때문이다. hash는 다음과 같이 어떤 데이터를 특정 연산을 통해 특별한 값(보통 integer)으로 변환시켜주는 개념이다.
hash 연산을 하는 함수를 해시 함수라 하며 해시 알고리듬은 MD5, SHA 같의 여러 종류의 알고리듬이 존재한다. 해시맵은 해시 함수를 통해 key를 특정 값으로 변환시키고 이 값을 value를 저장할 공간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저장되는 공간은 보통 bucket 또는 slot이라고 부르며 다음 그림과 같이 저장된다.
"Hi" 라는 데이터를 동일한 해시 함수에 넣으면 항상 23이라는 데이터를 반환한다. 사실 함수마다 다르지만 원래는 해시 함수의 반환값을 bucket size로 나눈 나머지(mod) 값을 인덱스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면 무조건 [0, bucket size) 범위의 인덱스가 나오니까. 어쨌든 이는 key를 통해 value가 저장된 인덱스에 상수 시간에 접근할 수 있다는 걸 뜻한다. 즉 O(1)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는 말이다. key-value 쌍이 10개든 100개든 1000개든 해시 함수 한번에 value의 index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사용하는 해시 함수의 시간 복잡도가 key-value 쌍의 개수에 영향을 받아선 안될 것이다.(그럴 일이 있나 싶겠지만) 해시 함수가 아닌 key를 직접 비교해가며 value를 찾는다면 위 그림에선 24번 비교해야 23번 인덱스의 값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해보면 만약 "Apple" - "Samsung"을 쌍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Apple"을 해시 함수에 넣어 인덱스를 얻고 그 인덱스에 "Samsung"이라는 value를 저장한다. 만약 "Apple"의 value를 읽어오고 싶다면 똑같이 "Apple"을 해시 함수에 넣어 인덱스를 얻은 뒤 bucket에서 읽어오면 된다. 참고로 역은 성립하지 않아서 해시값을 통해 역으로 "Hi"라는 데이터에 접근할 순 없다.

1.1.10 가비지 컬렉터

C++의 스마트 포인터는 레퍼런스 카운팅 방식을 사용(가비지 컬렉션이 아님), C#이나 언리얼은 나이브 마크 앤드 스윕 방식을 사용.
레퍼런스 카운팅 : C++ 스마트 포인터에 사용됨. 객체마다 레퍼런스 카운트를 두어 객체의 참조개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가 0이 되면(해당 객체를 사용/참조하는 부분이 없으면) 해당 객체를 해제한다.
장점 : 대개 메모리를 사용 직후 해제하므로 해당 객체가 캐시에 있을 확률이 높으며, 그로 인해 해제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단점 : 레퍼런스가 0이 될 때 참조한 객체가 많으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카운팅에 대한 데이터레이스가 일어날 수 있다. 순환참조가 생길 수 있다.
나이브 마크 앤 스윕 : 모든 객체의 리스트를 루트 셋에서 가지고 있다. 해제할 메모리는 루트 셋에서 제외한다. 해제하지 않아야 할 메모리는 가지고 있는다. 이게 Mark 단계.   Sweep 단계에선 연결되지 않은 메모리를 싹다 해제한다.
예전에 스터디에서 해당 내용에 대한 주제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그때 들은 바로는 언리얼 GC 객체가 생성되는 모든 UObject들을 Object 어레이에 따로 기록을 해 두고, Flag값을 조절하여 해당 메모리를 해제할지 여부를 알아낸다. 그러므로 언리얼에서 GC로 관리할 수 있는 객체는 Uobject를 상속한 객체 뿐이다.
또한 UPROPERTY, UCLASS 등으로 리플렉션 데이터를 만들어야 GC를 쓸 수 있다.
단점 : 메모리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 도중 메모리가 변경되면 안되기 때문에 시스템이 중단되어야 한다. (실시간성이 중요한 게임에선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가비지 컬렉션이란?

가비지 컬렉션이란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자동으로 정리하는 것이다. 동적 할당된 메모리 영역 가운데 이상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탐지해 자동으로 해지하여 메모리 누수를 막을 수 있다. 이 기능을 가진 언어(혹은 엔진)는 자바, C#, 자바스크립트 등이 있다.

가비지 컬렉션 방법

대부분의 가비지 컬렉팅 기법은 트레이싱(tracing) 방식을 사용한다. 트레이싱 방식은 한 개 이상의 변수가 접근 가능한 메모리는 앞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로 간주하고, 그 밖의 메모리를 해제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트레싱 방식 중 하나가 마크 앤 스윕(mark and sweep)이다. 일부는 가비지 컬렉팅 기법으로 참조 카운팅 방식을 사용한다.

마크 앤 스윕(mark and sweep)

한 객체에 flag를 두고, 가비지 컬렉션 사이클마다 flag에 표시 후 삭제하는 mark and sweep 방법이다.
객체에 in-use flag를 두고, 사이클마다 메모리 관리자가 모든 객체를 추적해서 사용 중인지 아닌지를 표시(mark)한다.
그리고나서 표시되지 않은 객체를 삭제(sweep)하는 단계를 통해 메모리를 해제한다.

1.1.11 타입 간의 계산 결과

int b = 5, c = 4, d = 2;
float a = d + b/c;
b/c는 int끼리의 계산이므로, 5/4 = 1이다.
즉 답은 3.0
즉 변수의 리턴타입은 중요하지 않고, 어떤 타입끼리 계산을 하는지가 중요하다.
float = float / int  일 경우, float/int에서 float로 계산된다. 즉 더 넓은 표현 타입으로 계산되는 것.
int = float / int일 경우, float/int로 계산되지만 리턴타입인 int로 짤려서 들어간다.
정리하자면 , 최종 결과가 계산되기 전 까지의 값은 계산한 타입끼리 임시변수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int = int / float + int / int + float / float;  와 같은 식을 풀이하면
int = int / float  🡪 임시변수 : float            int / int  🡪 임시변수 : int
float / float    🡪 임시변수 : float;
최종 결과 : int (float + int + float를 더한 값에 최종 변수가 int이므로 소수점 버림)

1.1.12 생성자와 소멸자

사례 1.
결과
왜?
1.
Func안의 B b; 생성으로 인해 기본 생성자
2.
b를 리턴하는데, 값 복사가 아닌 이동으로 처리됨(NRVO)
3.
move를 통해 껍데기만 남은 b 소멸자 호출
4.
main()함수의 return 0을 통한 소멸자 호출
5.
만약 Release모드라면, 모든 과정에서 constructor만 호출된다.(최적화)
사례 2.
왜?
1.
Func1()내의 T t; 생성으로 인한 기본 생성자 호출
2.
d를 리턴하는데, NRVO에 의해 이동 생성자가 호출
3.
껍데기만 남은 t가 소멸.
4.
main()함수에서 이동생성자를 통해 이동된 T t가, 리턴할 곳이 없음으로 소멸
5.
Func2()의 인자인 Func1의 T t; 가 생성되어 기본 생성자 호출
6.
마찬가지로 NRVO에 의해 리턴 시 이동생성자 호출
7.
리턴 후 껍데기만 남은 t가 소멸됨. 소멸자 호출
8.
이동생성자를 통해 Func1에서 리턴된 t가, Func2의 인자로 들어간다. Func1의 리턴값은 우측값이기 때문에, 복사 없이 들어가므로 아무 생성자도 호출되지 않는다.
9.
Func3()의 인자로 t를 넣기 위해 복사생성자가 호출된다.
10.
Func4는, Func3의 std::move를 통해 이동된 우측값이므로, 이동생성자가 호출된다.(move는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시하여 컴파일러가 이동생성자를 호출하게 하기 위한 도구이므로, 이동생성자가 호출되어야 한다.)
11.
Func4의 T d = t;는 T d를 최초 생성하는 부분이므로, 대입연산자가 아니라 복사생성자가 호출되게 되므로, 복사생성자가 호출된다.
12.
return d;(NRVO)를 통해 이동생성자가 호출된다.
13.
Func4의 인자값인 T t가 소멸.
14.
Func4에 이동하고 남은 껍데기가 소멸
15.
Func4의 리턴값은 갈데가 없으므로 소멸자가 호출
16.
Func3의 t 껍데기가 소멸
17.
Func2의 Func1에서 이동된 t가 소멸
RVO, NRVO(Return Value Optimization, Named Return Valule optimization)
임시객체가 리턴되면, 요즘 컴파일러는 해당 리턴을 값복사로 처리하지 않고 이동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를 RVO라고 한다.
원래 T t; return t;와 같이, 이름이 있는(주소와 메모리가 있는, 임시객체가 아닌) 객체들은 RVO가 적용되지 않았으나, C++ 개정시에 같이 적용되게 되어 NRVO로 불리게 되었다.

1.1.13 C++의 메모리 영역

코드 영역

실행될 코드가 저장(읽어야하는 명령어도 메모리에 존재해야 한다)

데이터 영역

정적(static), 전역변수가 저장되는 공간
전역 변수의 경우 프로그램의 시작과 함께 할당되며, 할당 순서가 미정이기 때문에, 선언 및 사용 시 타이밍에 주의하여야 하며 해제 순서는 할당의 역순입니다.

힙 영역

메모리 공간을 동적으로 할당/해제 할 수 있는 영역
스레드는 이 영역을 공유합니다.

스택 메모리 영역

클래스의 멤버변수와 지역변수가 할당되며, 함수의 파라미터, 함수의 반환 주소값이 들어감
스택 자료구조처럼 쌓이기 때문에, 함수가 끝나면 하나씩 pop해가면서 반환주소를 찾는다
특징은 선언 범위를 벗어나면(Scope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따로 메모리 해제를 신경쓸 필요가 없다.
스레드는 이 영역을 공유하지 않는다.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음

1.1.14 C++11/14/17/20 에 추가된 신기능

범위기반 for문(range based for)
람다식(lambda)
자료형 추론(auto)
enum class (scoped enum)
override, final 키워드
진보된 난수생성기(랜덤숫자 생성기)
mt19937 : mt19937은 메르센 소수의 주기를 이용한 의사난수 생성기이다.
빠르고, 난수 주기가 크지만 암호학적으로 비교적 안전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mt19937의 시드 넘버를 생성하는데에 random_device를 이용한다.
random_device : 하드웨어 리소스와 같은 예측하기 어려운 값을 통해(CPU 클럭값 같은 것을 이용함) 비결정적 난수를 생성한다.
스마트 포인터
해시맵
등등….

1.1.15 const

n gbconst 키워드의 위치별 의미

상수 포인터(const pointer)

Copy int a = 100; int b = 200; //non const 포인터 int* ptr = &a; ptr = &b;//주소 변경 가능 *ptr = 300;//값 변경 가능 //상수 포인터(const pointer) int* const ptr2 = &a; ptr2 = &b;//포인터가 상수이므로 변경 불가능 *ptr2 = 300;//값은 변경 가능
Arduino
복사
int* const ptr = &a;
일반적으로 상수 포인터라고 하면 위와 같이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const의 우측에 포인터 변수의 값이 위치합니다. 즉 포인터 변수를 const하겠다는 뜻이며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주셔야 합니다. 이 경우 초기에 저장된 포인터 변수의 값은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상수에 대한 포인터(Pointer to Const)

Copy int a = 100; int b = 200; //non const 포인터 int* ptr = &a; ptr = &b;//주소 변경 가능 *ptr = 300;//값 변경 가능 //상수에 대한 포인터 const int* ptr2 = &a; ptr2 = &b;//포인터가 상수가 아니므로 변경 가능 *ptr2 = 300;//가리키는 값이 상수이므로 변경 불가능
Arduino
복사
const int* ptr = &a;
const 키워드가 가장 좌측에 위치하면 이는 int *ptr 을 상수화 하겠다는 뜻이 됩니다. 즉 *ptr이 상수가 되는것이지요. 이렇게 된다면 *ptr이 가리키는 값이 상수가 되어 값을 변경할 수 없게 됩니다.

상수에 대한 상수 포인터 (Const Pointer to Const)

Copy int a = 100; int b = 200; //non const 포인터 int* ptr = &a; ptr = &b;//주소 변경 가능 *ptr = 300;//값 변경 가능 //상수에 대한 상수 포인터 const int* const ptr2 = &a; ptr2 = &b;//포인터가 상수이므로 변경 불가능 *ptr2 = 300;//가리키는 값이 상수이므로 변경 불가능
Arduino
복사
const int* const ptr = &a;
이렇게 두 군데 모두 const하여 모두 상수로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위의 개념을 합한 의미입니다. 즉 주소와 값 모두 변경할 수 없게 됩니다.

1.2 컴퓨터공학

1.2.1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정의한다. 즉 실행되고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이 (심지어 같은 프로그램을 여러 개 실행시켰더라도) 모두 프로세스이다.
작업 관리자 – 프로세스 창에서 본 2개의 비주얼 스튜디오.
똑같은 비주얼 스튜디오 프로그램이지만, 각각은 다른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스들은 각자 고유한 가상 메모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물리 메모리 사용량과는 상관없이 프로세스 자신이 전체 메모리를 전부 가진 것처럼 작동하며, 이러한 착각을 지원하기 위해 가상 메모리 할당과 페이징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프로세스와 통신하려면 (IPC : Interprocess Communication) 메시지 패싱이나 공유 메모리(Shared Memory) 같은 방식을 사용해야 하며, 스레드보다 비교적 무겁다.  프로세스를 생성->제거하는 일련의 사이클에서 OS는 가상 메모리 범위를 잡고, 프로세스를 세팅하고, 제거 시엔 가상 메모리를 다시 풀어주고 하는 과정에서 쓰레드보다 더 연산 부담을 가지게 된다.
컨텍스트 스위칭이 스레드보다 무겁다(스위칭에 필요한 정보들이 스레드보다 많기 때문이다. 단 대개 유의미할 정도로 문제가 되진 않는다)

스레드

스레드는 각각의 프로세스의 실행 흐름이다.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 개 스레드를 만들 수 있다. 레지스터와 스택 메모리를 제외한 힙, 데이터 공간을 공유한다. 이로 인해 빠른 스레드 간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컨텍스트 스위칭이 가볍고 빠르다. 스레드의 컨텍스트 스위칭 기법은 FCFS(First Come First Served), RR(Round-Robin : 시분할), SJF(Shortest Job First) 등의 기법이 있다.
메모리를 공유하기때문에 그에 따른 Data Race, Deadlock 문제를 피할 수 없어서 Lock이나 Atomic을 사용하여 잘 회피하여야 한다. 스레드는 시간이 일정 이상 경과하거나(Timeout), IO 인터럽트가 들어오거나, Sleep 등의 코드가 실행되거나, 스레드 자신이 CPU 점유를 양보하거나(Yield) 등의 이유로 스위칭 될 수 있다.

1.2.2 데드락

락(Lock)

락이란 락을 걸어놓고 들어간 해당 스레드를 제외한 어떤 스레드도 락이 걸린 구역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락을 걸어놓은 해당 스레드가 락을 릴리즈(해제) 하고 해당 구역에서 나가면, 다른 스레드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데드락 설명에서는 자원 == 코드 구역 이라고 봐도 된다. 크리티컬 섹션 안의 명령어들도 스레드가 독점해야 할 자원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즉 그 해당 스레드에서 다른 스레드로 context switcing이 될 수는 있지만, lock이 된 구역은 해당 스레드 외엔 누구도 진입하지 못하게 됨을 의미한다.
메모리를 공유하여 읽기/쓰기를 수행할 쓰레드들은 공유 메모리에 접근하기 전에 메모리에 대해 락을 시도해야 한다. 읽는 중에 데이터가 바뀌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스레드가 이미 점유중일 경우, 새로 락을 시도하려던 스레드는 점유중인 스레드가 락을 해제하거나, 타임아웃이 될 때 까지 대기하게 된다.

1.2.2 데드락(Deadlock)

만약 A,B자원을 둘 다 사용해야 하는 스레드 C,D가 있는데 스레드 C가 A를 , 스레드 D가 B를 가지고 서로의 객체를 반납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면 이러한 상태를 데드락이라 한다.
즉 데드락이란, 특정한 자원(메모리, 레지스터, CPU 연산장치 등을 의미)을 사용하는 스레드들이 서로의 자원을 반납하기만을 무한이 기다린다면, 이것을 데드락이라고 한다.
유명한 예시로는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가 있다.
데드락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매우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하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락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

세마포어(Semaphore)

작동 원리

세마포어의 작동 원리는 상호 배제 알고리즘(Mutual Exclusion Algorithm)에 기반한다.
상호 배제 알고리즘(Mutual Exclusion Algorithm)
동시 프로그래밍에서 공유 불가능한 자원의 동시 사용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에서 구현된다.
세마포어는 원자적(Atomic)으로 제어되는 정수 변수로, 일반적으로 세마포어의 값이 0이면 자원에 접근할 수 없도록 블럭(Block) 하고 0보다 크면 접근함과 동시에 세마포어의 값을 1 감소시킨다.
반대로 종료하고 나갈 때에는 세마포어의 값을 1 증가시켜 다른 프로세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접근되는 자원은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으로 이 설정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퍼포먼스가 극단적으로 하락할 수 있어 사용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임계 구역/영역(Critical Section)
여러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공유하며 수행될 때, 각 프로세스에서 공유 데이터를 접근(Access)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코드 부분이다.
즉, 여러 프로세스가 동일 자원을 동시에 참조하여 값(공유하는 변수명, 파일 등)이 오염될 위험 가능성이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시 성능 향상을 위해 임계영역을 최소화하는 설계를 해야 한다.

구성

세마포어 변수 S와 P 연산, V 연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마포어 변수 S는 일반적으로 정수형 변수를 사용하며, 세마포어의 종류는 이진형 세마포어와 계수형 세마포어가 있다.
이진형 세마포어(binary semaphore): 0 또는 1을 가진다. 즉, 1개의 공유 자원을 상호배제하며 이를 이용해 계수 세마포어를 구현할 수도 있다.
계수형 세마포어(counting semaphore): 0과 양의 정수값을 가질 수 있따. 여러개의 공유 자원을 상호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세마포어 변수 S는 P와 V라는 명령에 의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P와 V는 각각 try와 increment를 뜻하는 네덜란드어 Proberen과 Verhogen의 머릿글자를 딴 것이다.)
여기서 P 는 임계 영역을 사용하려는 프로세스들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조작으로 Wait 동작이라고도 한다.
V 는 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깨우는 신호(Wake-up)로 Signal 동작이라고도 한다.
P는 임계 구역에 들어가기 전에 수행되고, V는 임계 구역에서 나올 때 수행된다.
이때 변수 값을 수정하는 연산은 모두 원자성을 만족해야 한다. 즉, 한 프로세스(또는 스레드)에서 세마포어 값을 변경하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가 동시에 이 값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
두 개의 Atomic operation인 wait(P)와 signal(V)로만 접근이 가능한 방법이다.
P = 세마포어 카운트를 1 깎고 연산에 진입한다. (이미 자원을 사용하는 task가 있다면 재움 큐에서 자고 있게 된다)
V = 세마포어 카운트를 1 추가하고 연산에서 빠져나온다.(대기하고 있는 task가 있다면 재움 큐에서 자고 있는 연산을 깨워준다 - Busy Wating 방지)
세마포어는 0이하로 떨어질 수 없다.
P와 V가 Atomic(원자적)하기 때문에, P->P, V->P 등의 동작을 하게 될 경우 데드락이 발생하거나, 상호배제(각 스레드가 자원에 대해 서로를 배타적으로 배제함)를 보장할 수 없게 되는 약점이 있다. 또한
1.
P(s) ->P(q) | Critical Section | V(s)-> V(q)
2.
P(q) -> P(s) | Critical Section | V(q) -> V(s)
와 같이 설계된 세마포어 코드가 있을 때, A의 P(s)와 B의 P(q)가 같이 일어난다면 서로가 s와 q를 한 손에 든 상태에서 상대의 자원이 V되기를 기다리게 되므로 데드락이 발생한다.
(A는 P(q)를 위해 B가 q를 반납하길 기다릴거고, B는 P(s)를 위해 A가 s를 반납하길 기다릴 것이므로… )
해결법으로는 세마포어가 모든 자원을 다 얻은 채로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하거나(다 얻지 못하면 그 즉시 모든 자원을 반납하고 재시도한다), 타임아웃을 넣거나 하는 방법이 있다.
Mutual Exclusion(Mutex)
0,1만을 사용하는 Binary Semaphore를 Mutual Exclusion(mutex)라고 한다.
상호 배제를 구현할 수 있다. (세마포어 카운트가 최대 1이면 자원에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C++에서 스레드/락의 구현 방법으로는 _beginthreadex와 waitforsingleobject등을 쓰는 윈도우 스레드와 STL에서 추가된 std::thread를 쓰는 방법이 있다. 스레드 같은 경우는 ‘실제로 구현해 보았는지?’를 물어보는 질문이 가끔 등장하므로 실제로 스레드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는 경험을 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세마포어는는 화장실 여러개를 세마포어가 관리하는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고
뮤텍스는 화장실이 1개이고 들어갈수 있는 키를 이용해서 사용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1.2.3 메모리

우리가 말하는 ‘메모리’는 대개 주 메모리(Main memory)인 RAM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물리 메모리’라고 한다. 프로그램은 자기가 사용할 데이터를 이 물리 메모리에 미리 가져와서 필요할 때 사용한다.(하드디스크는 굉장히 느린 매체이므로, 필요할 때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로드한다면 컴퓨터를 쓸 수 없을 수준이 된다)
또한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메모리에서 추방하여 다른 데이터가 들어올 수 있게 만든다.
여기서부터는 메인 메모리 = 물리 메모리 = 주 메모리 = RAM   이다.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는  가상의 메모리 공간이다. 가상의 메모리 체계를 만들어서, 실제로 사용되는 물리 메모리 공간에 1:1 대응시킨다.
RAM(물리 메모리)가 있는데 굳이 가상으로 메모리 공간을 만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인 가상 메모리 공간을 가지게 하기 위함이다.
각 프로세스마다 연속적이고 충분히 큰 가상메모리를 만듦으로써, 실제 물리 메모리가 어떻든 상관없이 더 큰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프로세스가 자신이 메모리 자원을 전부 점유하고있다고 착각할 수 있게 만든다.
즉, 내가 만약 16GB의 물리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다고 하고, 5개의 프로세스가 이를 나눠 쓴다고 하자.
만약 가상 메모리 공간을 16GB로 잡아 놓으면, 물리 메모리가 얼마나 남아있던 간에 각각의 프로세스는 16GB의 공간을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기 때문에, 물리 메모리의 용량이 꽉 차면 운영체제는 안 쓰는 다른 프로세스의 데이터를 물리 메모리에서 몰래 내쫒는 등의 공간 확보 작업을 한다)
정확히는 모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물리 메모리의 사용량이나 점유현황을 신경쓰지 않고도 구현이 가능하게 만드는 이점도 있다.
또한, 가상 메모리는 프로세스마다 독립적이므로 프로세스가 각자의 데이터를 함부로 접근하거나 조작할 수 없어서 운영체제의 메모리 안정성을 높인다.
90년대에는 이러한 가상 메모리가 완벽하지 않아서, 프로그래머가 메모리 공간을 직접 잡아서 부여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도 하고, ppt 작업 중 mp3 플레이어를 실행시켰더니 ppt가 터지는 일도 발생하였다고 한다.
두 번째는 외부 단편화를 완화화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단편화(Fragmentation)

외부 단편화
좌측이 전체 메모리, 우측이 새로 할당해야 할 메모리이다. 흰색 부분이 빈 메모리이다.
그림과 같이, 빈 물리 메모리의 전체 공간이 충분(35)함에도, 메모리가 연속적이지 않아서 메모리를 새로 할당(21) 할 수 없다. 이를  ‘외부 단편화’ 라고 한다.

내부 단편화

그림과 같이 메모리를 할당할 때, 4만큼 블록 단위로 할당하였다. 만약 메모리가 7만큼 할당이 필요하다면, 크기 4의 블록 2개를 할당해주어야 하고, 1만큼의 메모리가 낭비되게 된다. 이를 ‘내부 단편화’라고 한다.
단편화의 해결법

메모리 풀

메모리 풀(memory pool)은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할당하여 malloc이나 C++의 new 연산자와 유사한 메모리 동적 할당을 가능하게 해준다. malloc이나 new 연산자 같은 기능들은 다양한 블록사이즈 때문에 단편화를 유발시키고, 파편화된 메모리들은 퍼포먼스 때문에 실시간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좀더 효율적인 방법은 memory pool이라고 불리는 동일한 사이즈의 메모리 블록들을 미리 할당해 놓는 것이다. 그러면 응용 프로그램들은 실행 시간에 핸들에 의해서 표현되는 블록들을 할당하고, 접근하고, 해제할 수 있다. (위키백과)
프로그래머가 할 수 있는 외부, 내부 단편화의 해결법이다. 프로그래머가 직접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는 특정 크기의 풀(pool)을 만들어서 그 풀에서 메모리를 가져오고, 사용이 끝나면 돌려주는 것이다. 미리 만든 풀에서 메모리를 가져오므로 할당이 새로 일어나지 않는다.
장점
단편화를 완화할 수 있다. 할당/해제가 빈번할 때 new/delete를 통해 새로 할당/해제할 필요가 없이 풀에서 가져오고, 반납하면 되므로 비용이 크게 감소한다.
단점
메모리 풀은 프로그래머가 직접 메모리를 0부터 100까지 관리하겠다고 선언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즉 모든 메모리 문제의 책임은 프로그래머가 가지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도 풀을 유지해야 하므로 메모리 낭비가 생긴다.

페이징

페이징이란 가상 메모리를 페이지로 나누어 다루는 기법이다.
페이지(가상 메모리 나눔의 단위)와 프레임(물리 메모리 나눔의 단위)은 1:1대응되며 (가상 메모리의 주소값과 물리 메모리의 주소값은 다르므로, 가상 메모리 주소를 기반으로 물리 메모리 주소를 찾아가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 이로 인해 물리적으로 연속적이지 않아도 가상 메모리에서 연속된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단편화를 완화한다.
그림과 같이 물리적으로 연속적이지 않아도 가상 주소는 연속적으로 만들 수 있다.
1:1 사상관계(주소값 정보)를 ‘페이지 테이블’에 기록하여, 페이지를 통해 프레임을 찾아서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만든다. 페이지 테이블은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다.
즉 가상 메모리 주소를 근거로 페이지 테이블에서 물리 메모리 주소를 찾아서, 물리 메모리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다. (실제 데이터는 물리 메모리에 들어 있으므로)

페이지 폴트

물리 메모리 안에서 페이지에 대응되는 프레임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왜냐하면 가상메모리를 통해 각각의 프로세서들은 전체 메모리를 혼자 점유한다고 착각하고 사용하고, 실제 메모리는 이러한 착각을 지원하기 위해 물리 메모리가 가득 차면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내쫒고 새로운 데이터를 들여오기 때문에, 내가 필요한 페이지가 정작 필요할 때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페이지 폴트는 디스크를 이용한 데이터 로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성능적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최대한 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쉽게 말해, 메모리가 부족하면 생기는 현상이다.

디맨드 페이징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면, 결국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
이를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이라고 하며, 매우 느린 저장장치인 2차 저장장치(하드디스크)에서 가져오는 것이니만큼 많은 시간 손실이 발생한다. 이래서 프로그래머는 메모리를 다룰 때 페이지 폴트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구현해야 한다.

서버 프로그래머 면접 질문 영역

operating system
system programming
network
server programming
c++
data structure
database

operating system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성
PCB(Process Control Block)와 Context Switching
Process Scheduling Algorithm
starvation % aging
Deadlock
가상 메모리
메모리 단편화
지역성 (spacial, temporal, sequential)
대칭, 비대칭 암호화 특징

system programming

커널 오브젝트
핸들
프로세스와 스레드
동기화 객체

network

TCP vs UDP
주소 체계
Domain Name System
HTTP 프로토콜의 특징
각 프로토콜의 특성

server programming

3-way handshaking & 4-way handshaking
Nagle Algorithm
Socket Mode
Overlapped IO
IOCP

database

DDL, DML, DCL
키의 종류와 개념
인덱스의 특징
클러스터 인덱스와 비-클러스터 인덱스
정규화
트랜잭션

1.2.4 네트워크

TCP/UDP

1. TCP : 연결지향형 서비스(reliable service)와 신뢰적 데이터 전송 서비스(data integrity)를 포함한다.
TCP의 특징 -> 이 용어를 외울 필요는 없음. 내용은 외울 필요 있음
reliable service
TCP는 메시지 전송 전에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전송 제어 정보를 교환하도록 한다. 즉, 패킷이 전송될것을 미리 알려준다.
data integrity
TCP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올바른 순서로 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congestion control(혼잡제어)
TCP의 congestion control은 네트워크가 혼잡상태에 이르면 프로세스의 속도를 낮춘다.
즉, 프로세스가 우선이 아니라 네트워크의 안정성 향상을 우선한다.
flow control(흐름제어)
TCP는 receiver의 buffer가 꽉 차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sender의 전송을 관리한다.
요약하자면 TCP는 최대한 오류 없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많은 기능을 지원하며, 이에 따라 속도가 UDP에 비해 불리할 수 있지만 안정적이고 정확한 패킷 전달을 보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TCP의 사용처
HTTP,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대부분의 서비스에 사용된다. 게임도 대개 TCP를 사용한다.
2. UDP : 최소의 서비스 모델을 가진 간단한 프로토콜이다. 비연결형임으로 핸드셰이킹을 하지 않는다.
비신뢰적인 서비스이므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다. UDP는 flow control을 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스는 원하는 속도로 하위 계층으로 보낼 수 있다. 그 외 올바른 패킷 전송에 필요한 여러가지 제어를 전부 하지 않는다.
데이터그램을 생성하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비연결형이고, 데이터를 보내고 신경쓰지 않는다. 재전송 또한 없다.
그래서 TCP보다 비교적 빠르다. 연결 상태를 만들지 않으므로 유지할 필요도 없다.
또한 패킷이 순서대로 오는 것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자가 헤더를 보고 조합해야 한다.
최소한의 오류검출은 한다. 그렇다고 오류가 있으니 다시 보내달라고 하진 않는다
요약하자면 TCP보단 빠르지만 안전하지 못하다. 패킷 유실이 가능하다.
UDP의 사용처
DNS, 패킷 에러에 민감하지 않은 음성 통화, 비디오 서비스, 화상 통화 등..
(유튜브 영상의 픽셀 하나가 잘못 전송되었다고 해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이런곳엔 UDP가 적합하다. 실제로 유튭이 UDP를 쓰는지는 나도모르겠음. )

Nagle 알고리즘

TCP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OSI레이어를 거치면서 몇 겹의 헤더로 캡슐화되어 목적지로 보내진다. 또한, 패킷 전송에는 비용이 따른다. 이런 경우 데이터가 적다면 보내는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적은 데이터를 가진 패킷을 여러번 보내는 것보다는 많은 데이터를 가진 패킷을 한번에 보내는 것이 효율이 좋다. (네트워크 부하가 적어진다) 이럴 경우, 상대가 받을 수 있는 사이즈(window size)가 충분하다면 크기가 작은 패킷을 모아서 보내는 것을 Nagle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이렇게 보내면 전송의 효율이 증가하지만,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네트워크 게임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점프 입력을 세번 해야 패킷이 간다고 생각하면…?) 즉 네트워크 게임에서는 네이글 알고리즘을 off해야 한다.
네이글 알고리즘은 패킷전송제어에 관한 구현이므로, UDP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1.3 컴퓨터 그래픽스

대개 포트폴리오에 DirectX나 그래픽스 관련 내용이 있으면 물어봅니다. 자기 포폴에 맞춰 준비하되(포폴에서 Picking을 구현하였다면 피킹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간다던지), 렌더링 파이프라인의 개략적인 구조와 정의 같은건 범용적으로 외워 가면 좋습니다.

1.3.1 렌더링 파이프라인(레스터라이제이션)

파이프라인이란?
여러 명령어가 중첩되어서 프로그램이나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게 도와주는 과정(연산들의 집합)이다. 한 사이클 안에 들어가야 해서 과정들이 많기 때문에 한사이클이 복잡해지거나 사용자 입장에서 어려워질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Input Assembler]

3차원 모델 하나를 3차원 세상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줘야 할것은 무언인가?
여기서 모델은 점(vertex)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을 우리는 폴리곤(점들의 집합)이라고 한다.
주로 게임에서는 삼각형을 가지고 3D 폴리곤을 정의하는데, 이떄 이 정점데이터들을 운반하는 자료구조를 우리는 Vertex Buffer라고 합니다.
정점 버퍼와 같이 등장하는 용어로 Index buffer라는 것이 있다.
인덱스 버퍼는 쉽게 생각하면 정점들의 인덱스를 저장하고 있는 버퍼라고 할수 있는데
사각형을 예를 들면 사각형을 (삼각형 기반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2*3 = 6개의 정점이 필요하다.
사각형을 구성하는 정점을 4개만 두고 4개를 한 붓그리기 처럼 중복해서 그려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걸 인덱스 버퍼의 기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하지만 없어도 상관은 없다)
추가적으로 인덱스 버퍼를 사용하는데, 그것도 결국 메모리를 사용하니까 똑같다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
정점은 위치데이터 말고도, 색깔, 법선, 텍스처좌표(UV), 애니메이션에 필요한 정보등등 여러가지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사용하기 떄문에 단순히 정수만 저장하는 인덱스버퍼가 훨씬 메모리적으로 효율적이다.
다시 정점버퍼로 돌아와서 정점버퍼는 그냥 정점들의 연속적인 메모리 구조에 불과 하기때문에 실제로 GPU에서는 이러한 정점들을 이용하여 어떤 도형을 만들어야 하는지 정보가 필요하다. 해당 도형정보를 Primitve Topology 라고 한다.
결론적으로 Input Assembler 는 이러한 정점들의 데이터를 읽고, 삼각형과 같은 도형으로 조립하는 단계의 일을 한다고 생각하면된다.

[Vertex Shader]

Input Assembler 에서 받은 정점정보들의 정보로 도형은 생성이 되었지만 로컬 좌표계에 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들을 화면에 그대로 출력해버리면 화면에 중심부에 전부 그대로 출력되어버려서 공간좌표계(World)로 변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Local space에서 World space 로 변환이 필요하고, 실제 플레이어가 바라보는 카메라가 중심이 되는 공간 View Spcae변환을 해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Projection 변환을 거쳐 최종적으로 정의된 ClipSpace라는 공간으로 변환을 해준다.

[월드공간 변환]

Local Space라고도 불리는 오브젝트 공간은 3차원 세상에서 효현될 각각의 개인의 공간에 정의된 영역이이다.

[카메라 공간 변환]

월드 변환이 완료되어 모든 물체가 한공간(World space)에 모아지면 이제 우리가 원하는, 시점에서 물체를 관찰 할 수 있게 해줘야합니다. 이 때 관찰자로써 가상의 카메라가 필요하고, 이 카메라가 볼 수 있는 영역의 공간을 뷰 공간이라고 합니다.
월드 공간의 모든 물체를 카메라 공간으로 변화하게 된다면 효율적으로 여러가지 효과나 렌더링등을 진행할수 있다.
여기서 잠깐 카메라가 바라보는 세상에 대해 생각해보자. 가상의 카메라는 컴퓨터의 성능의 한계 때문에 실제 세상과는 다르게 시야가 제한 될수 있다. FOV(시야각), ASPECT(종횡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가시영역을 뷰 볼륨이라고 한다. 이렇게 생성된 뷰볼륨에 Near, Far정보가 전달되어 절두체의 영역을 다시 정의 한다.

[View Frustrum]

절두체 공간 밖에 있는 물체는 그리지 않는데, 우리가 살고 있는 3차원 세상은 모든걸 보여준다. 이렇게 밖에 없는 이유는 계산상의 효율성을 위해 어쩔수 없이 도입된 개념이다. 만약 물체가 절두체의 경계를 걸치게 되면 바깥쪽 부분은 잘려서 버리게 된다. 이를 클리핑(Clipping)이라고 한다. 이 클리핑은 카메라변환에서 이뤄지지 않고 나중에 클립공간에서 ->레스터라이저로 넘겨질때 수행된다. 이에 관련해선 레스터라이저 스테이지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투영 변환]

카메라 변환에서 월드의 모둔 물체를 카메라 공간으로 재배치하고, 이제 카메라 시점에서 세상을 바라볼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카메라를 통해서 바라보는 가상의 공간 현실세계처럼 3차원이지만 최적으로 우리가 바라봐야할 공간은 모니터세상인 (2차원) 공간의 세계가 되어야 합니다. 3차원 공간을 어떻게 2차원으로 표현 할 수 있을까요?
3차원 세상은 2차원 평면에 표현하는 방법은 다행이도 이미 화가들이 개발되었기 떄문에 우리도 이러한 방법을 쓰면된다. (원근법)
투영 변환은 이러한 원근 법을 구현하기 위해 카메라 공간에서 정의된 절두체를 3차원 클립공간으로 변환하는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투영변환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3차원 공간의 물체를 2차원 평면으로 바꾸는것이 아니라 3차원 물체로 변형됨에 주목해야한다.
이러한 투영 변환을 거친 물체들을 관찰해보면 절두체 뒤쪽에 있던 영역의 폴리곤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우리가 원했던 원근법을 적용 된 것이라고 볼수 있다.
추가적으로 한개더 생각해 보면 원근법을 3차원 공간에서 실현하기 위해 직육면체 볼륨으로 물체들을 변환 시켰는데 여기서 얻는 이점이 있다. 좀 더 간단한 공식으로 쉽게 Clipping(클리핑)작업을 할 수 있다.

[Tesselator 단계]

테셀레이터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HullShader → Tesselation → DomainShader 단계를 거친다.
Hullshader는 테셀레이터 작업의 첫단계이다.
VertexShader에서 공간변환을 진행하지 않고 Hullshader 정점정보들을 전달해준다.
Hullshader 는 폴리곤을 어떻게 분활 할 것인가? 폴리곤을 얼마나 분활 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아래 그림은 테셀레이션 적용 전과 후의 그림이다.
[적용전]
[적용후]
테셀레이터는 다시 말해 다각형을 겹치지 않고 작게 만들어 빈틈을 없애 게임등에서 사물이나 인물등을 실제에 보다 가깝게 표현할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이다.
DomainShader는 테셀레이터가 출력한 정점마다 한 번씩 함수(셰이딩 언어) 호출을 해주게 된다.
테셀레이션이 활성화 되면 기존의 정점쉐이더에서 수행한 것들을 도메인 셰이더에서 수행하게 된다.
예를들어 공간변환(월드 → 뷰 → 투영)이 될수 있다.
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기술은 아니다.
실제 게임을 제작 할떄는 정적이 적은 로우폴리곤과 정점이 많은 하이폴리곤 모델 두개를 따로 지원하는 경우 많다.

[Geometry Shader]

기본 폴리곤에서 정점을 추가하거나 또는 삭제 하거나 하는 연산을 할수 있다. 정점 정보를 추가하여 표현 할수 있는 모델이라면 그만큼의 정점정보를 뺴고 저장할수 있으니 메로리적으로 용량을 적게 차지 할수도 있고 GPU 도움을 받아서 정점을 추가해주기 때문에 연산속도가 빨라 질수 있다.

[Rasterization]

정점처리 단계를 지난 정점은 다음 단계인 레스터라이저 단계로 넘어갑니다.
우선 정점들은 삼각형으로 묶여있는데 이 시점부터는 하나의 독자적 도형으로 처리가 된다.
우선 화면에 그려질 2차원 삼각형의 세 정점이 결정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1.
이 삼각형이 포함하는 모든 픽셀마다 pixelShader(fragment shader)가 실행된다.
2.
삼각형의 세 정점에 할당 되었던 여러 데이터(pos, uv, normal, color)가 보간되어 삼각형 내부에 각 픽셀셰이더로 넘어옵니다.
Directx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틀어서 레스터라이제이션 이라고 부르고 고정 파이프라인 단계로 프로그래머 이러한 로직들을 임의 바꿀수 없는 파이프라인 단계이다. 자체 알고리즘으로 알아서 동작을 한다.
대표적 레스터라이제이션의 역할을 나열해 보자면
1.
클리핑
2.
원긋 나눗셈(perpective division)
3.
뒷면제거 (backface culling)
4.
스캔변환 (ndc scan transform)
5.
뷰포트 변환

[클리핑]

클리핑은 투영변환 이후의 클립공간 볼륨 바깥에 놓인 폴리곤들을 잘라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전 부터 언급되었던 이 작업이 바로 이 레스터라이저 단계에서 일어납니다.

[원근 나눗셈]

현재 단계에서 투영변환을 통해 원근법이 적용된 3차원 물체들을 직육면체 클리핑 공간에서 정의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최종적으로 필요한건 2차원 공간인데 그렇다면 어떻게 3차원공간을 2차원 공간으로 변환시킬수 있을까요?(수학적)
단순히 생각하면 3차원에서 2차원으로 차원을 줄이면 됩니다. 바로 Z좌표로 모든 성분을 나붜버리는거죠. 투영변환을 마친 정점데이터는 (x, y, z, w)에서 w성분에 z값이 저장된다. 원근 나눗셈이 적용 된 이후에는 x,y,z,w -> x,y,z의 좌표계로 변환되는데 이를 NDC(normailize device coordinate) 공간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정규화라는 이름이 붙는 이 좌표의 xy 범위는 [-1 ~ 1] z의 범위는 [0~1]이기 때문입니다

[뒷면 제거]

다음으로 레스터라이저에서 하는 기능으로 뒷면 제거가 있습니다. 카메라가 바라보고 있는 방향에 물체에 가려진 면적은 굳이 연산을 할 필요가 없다. 외적(Cross product) 삼각형의 바라보고있는 면의 방향을 구하여 뒷면일 경우에 연산에서 제외 시킨다.

[뷰포트 변환]

컴퓨터 화면상의 윈도우 스크린 공간을 갖는데 이 스크린 공간 내에 2차원 이미지가 그려질 뷰포트가 정의되는데 NDC공간의 물체들을 스크린 공간으로 이전시키는변환을 뷰포트 변환이라고 합니다.

[스캔 변환]

이전의 변환들은 자세한 사항을 몰라도 프로그래밍하는데 문제가 없었지만 이 스캔 변환은 렌더링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떄문에 꽤 중요하다. 삼각형 하나가 내부에 차지하는 모든픽셀(fragment)들을 생성하는 작업이다. 이때 정점데이터에 들어온 데이터들은 보간(선형 보간)되어서 픽셀셰이더로 넘어간다.

[Pixel Shader]

레스터화된 도형에 원하는 색을 입혀서 출력하게끔 도와주는 셰이더이다.
텍스처매핑 , 노말매핑, 등등 기법으로 색을 입혀서 표현도 가능하다.
조명 처리나 이미지 처리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정점 데이터가 보간된 값이 넘어온다.

[Output merger]

깊이 - 스텐실 테스트와 블렌딩이 일어나서 최종적인 화면(텍스처)에 물체를 그려준다.

[Compute shader]

컴퓨트 셰이더는 일반 렌더링 파이프라인과 별도로 그래픽카드를 사용할때 실행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셰이더이다. 대량 병렬 GPGPU 알고리즘 또는 게임 렌더링의 일부를 가속시키기 위해서
사용 할수 있습니다. 효율적으로 사용 하려면 GPU 아키텍처와 병렬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DirectxComput, Opengl Compute, CUDA, 또는 OpenCL에 대한 지식도 필요합니다.

1.3.2 조명

조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든 빛의 반사를 계산하는 전역 조명(GI, Global Illumination)이 있고, 조명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GI(전역 조명이란 말보다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GI라는 말을 훨씬 많이 씀)는 두 가지로 나뉜다. 실시간으로 빛의 반사를 계산하는 레이트레이싱, 미리 조명을 모두 계산한 ‘라이트맵’을 만드는 라이트맵 방식이 있다. 레이트레이싱은 실시간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최근에야 실용화가 될랑말랑 하는 기술이다. 라이트맵은 많이 쓰이나, 미리 조명을 계산하여 저장해 놓은 값을 쓰는 방식이므로 맵의 오브젝트의 위치를 바꾼다거나, 빛의 방향을 바꾼다거나 할 수 없다.
조명 알고리즘은 앰비언트 라이트(주변광, 환경광), 디퓨즈 라이트, 스페큘러 라이트 셋으로 나뉜다. 중요하진 않지만 이는 퐁-셰이딩 방법이라고 하며, 정확히는 빛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빛이 만드는 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Ambient Light(환경광)
글로벌 일루미네이션에서 환경광이란 빛이 직접 닿지는 않지만, 빛의 반사를 통해 빛이 어느정도 간접적으로 닿는 것을 의미하지만, 조명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는 이걸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냥 빛이 어느정도 ‘있을 것이다’ 라고 가정하고 구현한 것을 의미하며, 그렇기 때문에 상수값을 더하여 구현한다.
Diffuse Light(난반사광)
빛이 직접 닿는 곳의 휘도를 구하는 작업이다.
빛은 수직으로 내리꽂을 때 가장 밝고, 사선으로 비스듬히 비출 때 가장 어둡기 때문에, 0도에 가까워질 수록 작아지고 90도에 가까워 질수록 커지는 cosine을 사용하여 값을 구한다.
Specular Light(정반사광)
반사된 빛이 눈에 직격에 가깝게 닿을 때 그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어 밝게 빛나는 것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반사벡터를 구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그래서 반사벡터 구하는 방법을 많이들 물어본다.
1.3.3 범프 매핑(노말 매핑)
참조
1.
실제 면접 질문 사례 모음
N:M에서 앞은 면접관, 뒤는 면접자임
1.
1차면접 모음
2.1.1 N모사 수시채용(RPG)
1차 실무, 인성면접(4:1)
학원에서 배우면서 가장 어려웠던 과목은 무엇이며,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에서 가장 잘 배운 과목은 무엇인가?
자기 포트폴리오 소스코드를 보고 포폴에 대해 설명해보시오
2.1.2 M모사 수시채용(PC, IP기반 신작 RPG)
1차 실무, 인사면접(2:1) -> 2차 기술 임원면접(1:1)
락에 대하여 아는 대로 설명해 보시오(락, 뮤텍스, 데드락, 세마포어 등..)
STL의 컨테이너(벡터, 리스트, 맵, 해시, 스택, 큐 등)에 대해 아는대로 설명해 보시오
인생게임은 무엇인가요?
5년, 10년 후 자신의 모습을 설명해 보세요
취미가 무엇인가요?
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일베, 메갈 이런 것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2.1.3 D모사 수시채용(퍼즐, 모바일)
1차 실무 팀면접(3:1)
스마트 포인터에 대해 잘 알고 있는가?
데드락을 경험해보았는가? 경험해보았다면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유니티로 카메라를 구현하였던데, 선형보간과 구면보간의 원리를 알고 있는가?
코딩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사례를 설명해 보세요
C#과 언리얼의 가비지 컬렉션의 원리를 아는가? C++의 레퍼런스 카운트와의 차이는 무엇인가?
협업시에 트러블이 일어난 적이 있는가?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피킹을 구현하였던데, 피킹의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가?
D모사 면접의 경우, 거의 포트폴리오와 팀플경험에 기반한 질문이었으므로 같은게 나오진 않을 것이라 생각함.
2.1.4 A모사 수시채용(액션 RPG)
1차 기술팀면접(2:1) -> 2차 인사면접(2:1)
C11, C14에서 새로 추가된 STL의 기능들을 아는가?
협업시에 트러블이 일어난 적이 있는가? 어떻게 해결하였는가?
클라이언트 개발자를 지망하는 이유
게임개발자로서의 포부, 목표
2.1.5 N모사 수시채용(스포츠 게임)
기술, 임원면접(3:1, 면접 한번으로 채용)
팩토리얼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해 보시오(3가지)
상대와 내 캐릭터가 있을 때, 상대가 내 왼쪽에 있는지, 오른쪽에 있는지 , 반경 60도 내에 존재하는지 구할 방법을 말해보세요
포물선 공식을 아시나요? 가속도에 대해 아시나요?
충돌을 구현해보았나요? 어떻게 구현했나요?
자신이 다른 지원자 대비 뛰어난 점이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2.1.6 N모사 수시채용(모바일 IP RPG)
1차 실무팀면접(3:3)
내가 여태까지 개발하면서 와 이걸 내가 개발하다니 말도 안된다. 할 정도로 감탄스러웠던 경험이 있는가?
최적화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으면 말해보세요.
프로파일링 툴을 써 보았나요? 프로파일링, 최적화를 통해 성능 문제를 해결해 본 경험을 말해보세요
자신의 성격이나 인성적 장점을 어필해 보세요
벌컨과 메탈에 대해 아시나요?
모바일게임을 플레이하면서, 혹은 자사게임을 플레이하면서 기술적으로 인상깊었던 부분이 있나요?
스택, 데이터, 힙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왜 게임개발자를 선택하였나요?
게임 좋아하세요?
for문에서 i++(후위연산자)와, ++i(전위연산자)의 차이점이 있나요? 속도차이가 날까요?
2.1.7 N모사 공개채용(액션 RPG)
1차 실무팀면접(3:1) -> 2차 부서 임원면접(1:1) -> 3차 인사면접(1:1)
동기화 구조체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추상클래스는 무엇이며 왜 쓰는가?
사용해본 STL 컨테이너들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벡터, 리스트 등…)
Nagle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서버 프로그래밍, 소켓 프로그래밍을 해 보았는가? 무엇을 구현하여 보았는가?
우리가 왜 당신을 뽑아야 하는가?
가상 메모리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왜 게임 개발을 하려고 하는가?
32비트 환경과 64비트 환경은 무슨 차이가 있는가?
TCP와 UDP의 차이점을 설명해 보시오
상속구조에서 virtual 소멸자를 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적화/프로파일링 툴 사용 경험이 있는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였는가?
기억나는 버그가 있는가?
C++의 4가지 캐스팅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2.1.8 V모사 수시채용(모바일)
1차 실무 팀면접(4:1)
당신은 리더인가 팔로워인가?
우리 게임에서 기술적으로 인상깊었던 부분은 무엇인가?
2.1.9 A모사 수시채용(액션 RPG)
1차 실무팀면접(3:1) -> 2차 기술 임원면접(1:1)
C++의 4가지 캐스팅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알파 블렌딩, 알파 테스팅, 알파 소팅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라이팅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Nagle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TCP와 UDP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언리얼에서 액터와 폰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메모리 단편화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당신의 성격적 장점에 대한 근거나 사례가 있는가?
스터디를 했던데, 배운 게 정확히 무엇인가? 설명할 수 있는가?
const의 4가지 예시를 주고 설명하게 함
인생에서 열심히 한 게임은 무엇이며, 버그를 찾아본 적이 있는가?
반사벡터 구하기
언리얼의 스마트 포인터에 대해 아는가?
IK(Inverse Kinematics)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2.1.10 P모사 수시채용(PC RPG)
1차 실무팀면접(3:2)
팀플을 하면서, 프로그래머가 여럿이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있는데 그런 문제들이 있었는지? (순수 기술적인 부분에서)
가장 어렵게 디버깅한 경험에 대해 설명하시오
왜 우리팀을 지원하였고, 왜 우리팀에 어울린다고 생각하는가?
우리 회사의 인재상이 무엇인가? 왜 당신이 우리 인재상에 맞는 인재라고 생각하는가?
다이나믹 캐스트와 스태틱 캐스트의 차이는 무엇인가? 주의점은 무엇인가?
애니메이션을 구현하였던데, 애니메이션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왜 클라이언트 포지션을 선택하였는가? 왜 이 포지션을 잘 할 것이라 생각하는가?
프로젝트에서 어떤 파트를 맡았는가? 그 파트를 어떻게 구현을 하였는가?(순수 기술적인 부분만)
자주 사용하는 자료구조가 있는가? 하나를 설명해보세요(트리, 맵, 그래프, 해시 등..)
메모리 단편화의 두 가지 경우를 설명하고, 해결 방법을 제시하시오
상사가 자기가 보기에 무의미한 일(6개월 내내 로그만 찍는 것 같은)을 지시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본인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필기 테스트 문제 중에 지금 생각해보니 잘못 썼다고 생각하는 문제가 있는가? 어떻게 고칠 것인가?
2.1.11 K모사 공개채용(PC RPG)
1차 실무팀면접(2:1)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컨텍스트 스위칭에 대해 설명하시오
메모리 단편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게임 개발자를 목표로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는가?
자신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1.
2차면접 모음

2.2.1 A모사 수시채용(액션 RPG)

2:1 면접
가장 행복했던 순간 / 불행했던 순간에 대해 말해 보시오
열정을 다했던 경험이 있는가?
자기가 다른 지원자보다 뛰어난 점이 무엇인가?
자기 PR 해보세요
우리 게임 해 봤는가? 왜 안해봤는가?
자신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스트레스 해소는 어떻게 하는가?
인사팀에 물어볼 것이 있는가?
자신은 리더인가 팔로워인가?
자기가 일하고 싶은 좋은 회사란 어떤 회사라고 생각하는가?
팀원과 대립이 생기면 어떻게 해소하려 하는가?
왜 게임개발자를 지망하는가?
지금 즐기는 게임 / 모바일 게임 이 있는가?

2.2.2 N모사 공개채용(액션 RPG)

1:1 면접
프로젝트에서 무슨 파트를 담당하였는가?
인턴(실습)경험이 있던데, 그 회사 대표가 너를 어떻게 평가할 것 같은가?
왜 우리 회사이며, 만약 우리 회사에서 떨어진다면 어떻게 할 생각인가?
우리가 왜 너를 뽑아야 하는가?
하고 싶은 말이 있는가?
동료들이 너를 어떻게 생각할까? 뭐라고 평가할까?
게임 개발자로서 ~한 작업을 주로 하였고, 하고 싶다고 썼는데 원하는 작업을 못 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럴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2.2.3 M모사 수시채용(PC, IP기반 신작 RPG)

1:1 기술 임원 면접
도전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말하고, 단점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를 객관적 근거를 들어 말하시오. (객관적 근거란 만약 코딩이 느리다가 단점이면 시간 측정을 해본다거나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본다거나 원인 분석을 해본다거나 같은 다양한 근거를 말한다)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왜 객체지향을 쓰는지를 설명하시오.
다형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켓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서버를 구현하여 게임을 만들었던데, 패킷이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가? 만약 캐릭터가 대기 상태라면 패킷이 전송되는가?
1.
주관적 팁 모음(주관성, 비정확성 주의)

3.1 1차면접의 패턴

경험상 1차면접은 두 가지 패턴으로 나뉜다고 생각합니다.
팀 프로젝트와 개발의 ‘경험’을 주로 물어보는 면접과, 이론적인 ‘지식’과 테크닉을 물어보는 면접입니다. 이것은 면접관 취향에 따라 케바케가 워낙 심한 부분이기 때문에 두 부분을 다 준비하여야 합니다.
다만, 공개채용의 경우 전공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컴퓨터 아키텍처, 시스템 프로그래밍, OS, 네트워크 같은 전공지식적인 질문이 들어오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대개 어느정도 고만고만한 질문이 들어오기 때문에 출제 패턴을 파악해두면 대처하기 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모르는 질문이 나오거나 경험이 없었던 질문이 나온다면 어설프게 설명하려지 말고
꼭 모른다고 대답하셔야 한다.

3.1.1 경험을 묻는 질문의 예시

경험을 묻는 질문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협업 프로젝트 경험
프로젝트 수행 시에 팀원들과 대립하거나 의견이 엇갈렸을 때 해결한 경험
최적화를 수행한 경험
성능 문제가 생겼을 때 프로파일링 툴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해서 해결한 경험
역경을 극복한 경험
뛰어난 발상이나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한 경험
가장 어렵게 디버깅한 경험
개발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경험
기술적인 문제에 마주쳤던 경험
어떠한 일에 열정을 다 해본 경험
어떠한 일에 도전해서 성취를 느껴본 경험

3.1.2 이러한 질문에 대처하려면

이러한 경험은 프로젝트 시에 미리 신경써서 해당 문제를 기억해 놓아야 하고, 없으면 만들어서라도 채워 두는게 좋습니다. 특히 프로파일링, 최적화 경험 같은건 실제로 한번 해 보아야 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중이 아니면 경험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역경, 도전, 커뮤니케이션 경험 같은 항목들은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며 그럴듯해보이는 이야기에 살을 붙여서 약간의 소설을 쓰는게 좋습니다. 인생이 무난한 저 같은 사람들은 대개 그렇게 굴곡진 인생을 살아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픽션 비율이 높으면 추가질문이 들어올 수 있으니 픽션/논픽션 밸런스에 주의합시다.

3.1.3 지식과 테크닉을 묻는 질문의 예시

상속으로 구현한 부모 클래스의 소멸자에 반드시 virtual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Nagle 알고리즘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반사벡터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해보시오
TCP와 UDP의 차이점은?
Starvation(기아 상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volatile이란 무엇인가?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포워드 렌더링과 디퍼드 렌더링에 대해 아는가?

3.1.4 이러한 질문에 대처하려면

이러한 질문들은 공채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이지만, C++ 테크닉의 경우 수시채용에서도 꽤나 들어오는 질문입니다. 면접관 취향에 따라 케바케가 극심하기 때문에 안 묻는 분들은 한마디도 안 묻고, 묻는 분들은 이것만 묻는 분들도 있기 때문에 준비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대개 C++ 테크닉, 컴퓨터 공학, 컴퓨터 그래픽스에 대한 질문이므로 이 세가지 부분을 미리 공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Effective C++(면접에서 나오는 C++ 테크닉은 이걸로 대충 다 커버가 됩니다),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정말 가아끔 나옵니다), 네트워크(대개 TCP/UDP 근처 부분만), Tbasis 3D와 관련 DirectX 책의 정독을 권합니다.

3.3 그 외 팁

이 부분은 면접 책에 나온 내용이거나, 직접 겪으면서 아 이건 하면 안되겠구나 싶은 것들을 모아보았습니다.
회사는 배우는 사람이나 발전할 예정인 사람을 별로 안 좋아한다고 합니다.
~신입이라 아직 부족하지만, ~아직 부족한 것이 많고 모르는 것이 많지만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아직은 능력이 부족하지만… 같은 멘트는 치지 맙시다.
기업의 비전과 인재상을 숙지하고 갑시다. 가끔 물어봅니다. 내가 왜 인재상에 어울리는지도 생각해 봅시다.
진짜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다 싶은 질문에는 솔직하게 모르겠습니다 하고 다음 질문으로 넘어갑시다.
질질 끌면 안좋아합니다.
단점, 약점에 대한 질문은 그 약점을 어떻게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이라고 합니다. 뭔가 약점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성적이 왜 이렇게 낮나요? 코테를 왜 이렇게 못풀었나요?) 당황하지 말고 인정할 건 인정하고 극복을 위한 노력에 대한 얘기로 풀어나갑시다.
무의식적으로 면접관 눈을 피하지 말고 똑바로 쳐다보고 말합시다.
대답할 때 어~  씁~ 하는 말버릇이 있으면 교정합시다.
면접장에 들어가기전에 거울이나, 카메라를 통해서 내 대답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한번 보고 고칠점을 찾은후에 면접에 임하는것이 좋습니다.

4. C# & Unity

4.1 유니티 생명주기

이미지 출처 : 유니티 공식 docs - https://docs.unity3d.com/kr/2019.4/Manual/ExecutionOrder.html
유니티 생명 주기는 자주 나오는 면접질문 입니다. 각 주기별 역할과 순서정도는 알아두면 좋습니다.

첫 번째 씬 로드

다음 함수는 씬이 시작할 때(씬에서 오브젝트마다 한 번) 호출됩니다.
Awake: 이 함수는 항상 Start 함수 전에 호출되며 프리팹이 인스턴스화 된 직후에 호출됩니다. 게임 오브젝트가 시작하는 동안 비활성 상태인 경우 Awake 함수는 활성화될 때까지 호출되지 않습니다.
OnEnable: (오브젝트가 활성화된 경우에만): 오브젝트 활성화 직후 이 함수를 호출합니다. 레벨이 로드되거나 스크립트 컴포넌트를 포함한 게임 오브젝트가 인스턴스화될 때와 같이 MonoBehaviour를 생성할 때 이렇게 할 수 있습니다.
OnLevelWasLoaded: 이 함수는 세 레벨이 로드된 게임을 통지하기 위해 실행됩니다.
씬에 추가된 모든 오브젝트에 대해 Start, Update 등 이전에 호출된 모든 스크립트를 위한 Awake 및 OnEnable 함수가 호출됩니다. 원래 오브젝트가 게임플레이 도중 인스턴스화될 때 실행되지 않습니다.

에디터

Reset: 오브젝트에 처음 연결하거나 Reset 커맨드를 사용할 때 스크립트의 프로퍼티를 초기화하기 위해 Reset을 호출합니다.

첫 번째 프레임 업데이트 전에

Start: 스크립트 인스턴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만 첫 번째 프레임 업데이트 전에 호출됩니다.
씬에 추가된 모든 오브젝트에 대해 Update 등 이전에 호출된 모든 스크립트를 위한 Start 함수가 호출됩니다. 원래 오브젝트가 게임플레이 도중 인스턴스화될 때 실행되지 않습니다.

프레임 사이

OnApplicationPause: 이 함수는 일시 정지가 감지된 프레임의 끝, 실질적으로는 일반 프레임 업데이트 사이에 호출됩니다. 게임에 일시정지 상태를 가리키는 그래픽스를 표시하도록 OnApplicationPause 가 호출된 후에 한 프레임이 추가로 실행됩니다.

업데이트 순서

게임 로직, 상호작용, 애니메이션, 카메라 포지션의 트랙을 유지할 때, 사용 가능한 몇몇 다른 이벤트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인 패턴은 Update 함수에 대부분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함수도 있습니다.
FixedUpdate: FixedUpdate 는 종종 Update 보다 더 자주 호출됩니다. 프레임 속도가 낮은 경우 프레임당 여러 번 호출될 수 있으며 프레임 속도가 높은 경우 프레임 사이에 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든 물리 계산 및 업데이트는 FixedUpdate 후 즉시 발생합니다. FixedUpdate 의 움직임 계산을 적용할 때 Time.deltaTime 만큼 값을 곱할 필요가 없습니다. FixedUpdate 가 프레임 속도와 관계없이 신뢰할 수있는 타이머에서 호출되기 때문입니다.
Update: Update 는 프레임당 한 번 호출됩니다. 프레임 업데이트를 위한 주요 작업 함수입니다.
LateUpdate: LateUpdate 는 Update 가 끝난 후 프레임당 한 번 호출됩니다. Update 에서 수행된 모든 계산은 LateUpdate 가 시작할 때 완료됩니다. LateUpdate 는 일반적으로 다음의 3인칭 카메라에 사용합니다. 캐릭터를 움직이고 Update 로 방향을 바꾸게 하는 경우 LateUpdate 에서 모든 카메라 움직임과 로테이션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카메라가 포지션을 추적하기 전에 캐릭터가 완전히 움직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업데이트 루프

렌더링

OnPreCull: 카메라가 씬을 컬링하기 전에 호출됩니다. 컬링은 어떤 오브젝트를 카메라에 표시할지 결정합니다. OnPreCull은 컬링 발생 직전에 호출됩니다.
OnBecameVisible/OnBecameInvisible: 오브젝트가 카메라에 표시되거나/표시되지 않을 때 호출됩니다.
OnWillRenderObject: 오브젝트가 표시되면 각 카메라에 한 번 호출됩니다.
OnPreRender: 카메라가 씬 렌더링을 시작하기 전에 호출됩니다.
OnRenderObject: 모든 일반 씬 렌더링이 처리된 후 호출됩니다. 이 때 커스텀 지오메트리를 그리는 데에 GL 클래스 또는 Graphics.DrawMeshNow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OnPostRender: 카메라가 씬 렌더링을 마친 후 호출됩니다.
OnRenderImage: 씬 렌더링이 완료된 후 호출되어 이미지의 포스트 프로세싱이 가능합니다. 포스트 프로세싱 효과를 참고하십시오.
OnGUI: GUI 이벤트에 따라 프레임당 여러 번 호출됩니다. 레이아웃 및 리페인트 이벤트는 우선 처리되며 각 입력 이벤트에 대해 레이아웃 및 키보드/마우스 이벤트가 다음으로 처리됩니다.
OnDrawGizmos: 시각화 목적으로 씬 뷰에 기즈모를 그릴 때 사용됩니다.

코루틴

일반적인 코루틴 업데이트는 Update 함수가 반환된 후 실행됩니다. 코루틴은 주어진 YieldInstruction이 완료될 때까지 실행을 중단(양보)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코루틴의 다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yield 코루틴은 모든 Update 함수가 다음 프레임에 호출된 후 계속됩니다.
yield WaitForSeconds 지정한 시간이 지난 후, 모든 Update 함수가 프레임에 호출된 후 계속됩니다.
yield WaitForFixedUpdate 모든 FixedUpdate가 모든 스크립트에 호출된 후 계속됩니다.
yield WWW WWW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계속됩니다.
yield StartCoroutine 코루틴을 연결하고 MyFunc 코루틴이 먼저 완료되기를 기다립니다.

오브젝트를 파괴할 때

OnDestroy: 오브젝트 존재의 마지막 프레임에 대해 모든 프레임 업데이트를 마친 후 이 함수가 호출됩니다. 오브젝트는 Object.Destroy 또는 씬 종료에 대한 응답으로 파괴될 수 있습니다.

종료할 때

다음 함수는 씬의 활성화된 모든 오브젝트에서 호출됩니다.
OnApplicationQuit: 이 함수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 모든 게임 오브젝트에서 호출됩니다. 에디터에서 사용자가 플레이 모드를 중지할 때 호출됩니다.
OnDisable: 동작이 비활성화되거나 비활성 상태일 때 이 함수가 호출됩니다.

4.2 직렬화

직렬화(Serialization) 이란?
컴퓨터 과학의 데이터 스토리지 문맥에서 데이터 구조나 오브젝트 상태를 동일하거나 다른 컴퓨터 환경에 저장(이를테면 파일이나 메모리 버퍼에서, 또는 네트워크 연결 링크 간 전송)하고 나중에 재구성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오브젝트를 직렬화하는 과정은 오브젝트를 마샬링한다고도 한다. 반대로 일련의 바이트로부터 데이터 구조를 추출하는 일은 역직렬화(Deserialization)이라고 한다.
직렬화는 객체를 파일의 형태 등으로 저장하거나,
통신하기 쉬운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직렬화의 대상인 Object는 메모리에 있고 형태가 추상적입니다. 그래서 이런 Object를 string 혹은 바이트(bytes) 형태로 직렬화를 해줍니다.
이렇게 직렬화를 거쳐 일련의 형태를 가진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클라이언트/서버 에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역직렬화(Deserialization)란?

말그대로 직렬화 되어있는 데이터를 역으로 직렬화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렬화를 하는 과정에서 Json 형식으로 직렬화 할 지 아니면 Bytes 형식으로 할 지 정했습니다.
반대로 역직렬화를 할 때는 일련의 형식을 가진 데이터를 읽거나 메모리에 쓸 수 있도록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런 직렬화 포맷에는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 대표적입니다.
Json
XML
CSV
Byte
여기서 Json, XML, CSV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string 형태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비교적 파싱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합니다.
반대로 Binary 직렬화는 사람이 읽기 힘든 형태입니다.
하지만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파싱하는 시간이 빠르다고 합니다.

직렬화를 하는 이유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직렬화를 거치면서 파싱이 가능한 유의미한 데이터가 됩니다.
이런 직렬화된 데이터를 특정 대상의 컴퓨터에 전송하면,
해당 포맷에 맞게 파싱을 해서 읽거나 쓰기가 가능합니다.
이런 직렬화 포맷은 특정의 포맷이 성능상 더 좋아서 사용 하는 것이 아닌,
각 산업 분야에 맞춰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실시간 데이터 전송의 성능이 중요한 멀티플레이 RPG 게임은 바이너리 직렬화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웹 개발에서는 대부분 Json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니티에서 직렬화가 되는 것들
다만 모든 것들이 직렬화가 되어 저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건 아닙니다. 또한 유니티의 경우에는 다른 언어들과는 살짝 다르게 동작할 수 있으니 알아두는것 정도는 괜찮습니다.
public이거나 [SerializeField] 속성이 있어야 함
static, const, readonly가 아니어야 함
직렬화 할 수 있는 필드 타입이 있어야 함
=> 직렬화 할 수 있는 필드타입은 아래와 같습니다.
[Serializable] 속성이 있는 비추상, 비일반 커스텀 클래스
[Serializable] 속성이 있는 커스텀 구조체
UnityEngine.Object에서 파생된 오브젝트에 대한 레퍼런스
int, double, bool 같은 기본 데이터 형식
열거형 타입
Vector2, Vcetor3, Color 등과 같은 특정 Unity 내장 타입

4.3 const vs readonly

C++과 다르게 C#에서는 readonly 가 있어 수정이 안되는 읽기 전용 키워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를 간단하게 보겠습니다.
const
컴파일 타임 상수 (컴파일 시 변수가 값으로 대체)
스택에 위치하게 된다.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
내장 자료형에만 사용 가능
때문에 사용자 정의 클래스로는 불가능
readonly
런타임 상수 (런타임에 상수에 대한 참조)
힙에 위치하게 된다
생성자에서 초기화 가능 (그 외 변경 불가능)
어떤 타입과도 사용 가능
const 보다는 readonly가 좋다
한빛미디어 "Effective C# 3판" 아이템 2의 내용입니다.
둘 중 가장 큰 차이는 readonly는 상수에 대한 참조 코드를 생성한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const의 값을 변경하게 된다면 이를 사용하는 곳은 전부 재컴파일을 해야 합니다. 만일 하지 않으면 이전의 const 값으로 되어 있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readonly의 경우에는 일부만 리빌드 해도 이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들은 참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리빌드 없이 올바르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 외 const는 스택에 있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외의 유연성이 떨어지기에 아래 경우들을 제외하고 가급적 readonly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특성의 매개변수
switch/case 문의 레이블
enum 정의

4.4 C#의 string

C#에서의 string은 immutable(불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tring이 이렇게 불변속성이 된 이유는 멀티스레드 환경을 고려해 여러 스레드들이 엑세스 할 때 이들에 대한 동기화 처리를 하는 것보다 변경이 안되게 읽기 전용으로 만드는게 값이 더 싸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때문에 string에 대한 조작(+=, -= 등)을 하게 되면 이전의 객체에서 복사 후 연산을 한 뒤 이를 대입해주므로 이전의 객체는 가비지가 되어 이후 GC의 처리를 받게 됩니다. 때문에 수정이 많이 일어나는 문자열로 예상이 된다면 StringBuilder등의 클래스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StringBuilder는 어떻게 string 보다 수정에 용이할까?
StringBuilder는 기본적으로 16문자를 담을 수 있는 자리를 잡습니다. 이렇게 할당 된 크기 내에서는 어떠한 수정을 해도 가비지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만일 미리 할당한 버퍼가 다 찬 상태에서 append를 하게 되면 새 버퍼를 할당한 뒤 버퍼간 링크를 구성한다고 합니다.
다만 .Net 4.0 이전은 C++ vector 처럼 이전의 버퍼를 GC로 넘기고 새 버퍼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했습니다.

4.5 Unity & C#의 GC

C++과의 대표적인 차이가 GC의 유무 입니다.
일단 C#, 즉 .Net 의 GC는 Mark and Sweep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전역 변수, 현재 함수의 로컬 변수 등을 Root로 잡게 됩니다.
이 Root를 기반으로 점점 참조를 타고 다니면서 방문한 것들을 Mark 해줍니다.
이러한 Mark 작업이 끝나게 된다면 이후 Sweep 단계로 진입합니다.
Sweep 단계에서는 Mark 되지 않은 것들을 가비지로 판단해 처리하게 됩니다.
이런 작업을 거쳐 GC가 동작을 하게 됩니다.
.Net과 Unity의 GC
이 둘의 차이에 대한 질문들도 자주 나오게 됩니다.
일단 내부적으로 GC의 알고리즘은 Mark and Sweep를 기반으로 하게 되는데 그 이후의 과정이 다르게 됩니다.
.Net에서는 0~2세대까지 총 3개의 세대를 통해서 관리를 하게 됩니다.
유니티에서는 Boehm-Demers-Weiser 라는 알고리즘을 통해 GC 작업을 하게 됩니다. Mark and Sweep인것은 같으나 세대 구분이 없고 메모리 정렬도 없습니다. 때문에 19 버전 이상에서 제공하게 되는 점진적 GC 작업을 활용하거나 오브젝트 풀링 등의 기법을 활용해서 최대한 최적화를 해줘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호 참조 해결법
C#에서 상호참조중인 객체 해제에 대해서는 위 Mark and Sweep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됩니다.
만일 두 객체가 서로 참조중이라 하더라도 외부에서 참조가 없어 Mark 되지 않는다면 Sweep 단계에서 해제되게 됩니다.

4.6 delegate & event

delegate : 대표, 위임하다
delegate (델리게이트)
C# 에서 델리게이트는 함수를 타입화 한 것입니다. C++ 에서 함수 포인터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라미터와 리턴 타입을 통해 정의하게 되며 이후 리턴, 파라미터 타입이 같은 메소드들과 호환되어 이 메소드들에 대한 참조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public delegate void VoidAndIntEx(int i); public class ExampleClass { public void DoSomething(VoidAndIntEx exFunc) { // 인자로 받은 함수를 호출한다 exFunc(1); } }
C#
복사
C#에서 이런 델리게이트를 활용해 메소드를 담아두는 역할을 하거나 함수 인자로 넘겨 콜백 패턴을 구현하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하게 됩니다.
event
이벤트는 결국 델리게이트와 비슷한 일을 하게 되지만 한가지 큰 차이점이 이벤트를 호출 할 수 있는건 해당 이벤트를 가진 클래스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class ExampleClass { // Action에 대한 설명은 아래 public event Action ExampleEvent; //... if(ExampleEvent != null) { ExampleEvent(); } }
C#
복사
Action, Func, Predicate
이 키워드들은 자주 사용하게 되는 델리게이트를 템플릿화 한 것들입니다.
Action
함수 파라미터가 T 이고 반환값이 void 인 경우
Func<T, TResult>
함수 파라미터가 T 이고 반환값이 TResult 인 경우
Predicate
함수 파라미터가 T 이고 반환값이 bool 인 경우

4.7 박싱(Boxing)/언박싱(Unboxing)

값 형식의 데이터를 참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박싱이라고 하며, 그 반대를 언박싱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유의할 점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단순히 스택에서 힙으로의 값 복사가 박싱은 아니라는 것이다.
클래스의 필드로 값 형식이 선언됐다고 생각해보자.
객체는 힙 메모리에 할당되므로 그 필드 역시 힙의 연속된 메모리에 존재할 것이다.
그렇다고 그 값 형식의 필드가 박싱된 것은 아니다.
반대로 그 필드의 값을 참조 형식으로 변환한다면 그것 역시 박싱이다.
힙 메모리 내부에서도 박싱이 일어날 수 있다는거다.
두번째는 참조 형식을 값 형식으로 바꾸는게 무조건 언박싱은 아니라는 것이다.
언박싱은 박싱된 데이터를 다시 값 형식으로 돌려놓는 것이다.
즉 박싱이 있어야 언박싱이 있을 수 있다.

박싱/언박싱을 왜 사용할까?

대표적인 참조 형식에는 'object'가 있다.
Object 클래스는 모든 타입의 어버이이다.
즉 모든 타입은 object 타입으로 형변환을 할 수 있다는 것이고, int, struct와 같은 값 형식의 타입도 object 타입으로 형변환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박싱/언박싱은 과연 좋은 것일까?

최적화 관점에서 박싱과 언박싱은 지양해야 되는 기법이다.
사실 박싱과 언박싱은 내부적으로 상당한 오버헤드를 감수하고 사용해야 된다.
박싱은 1) 힙 영역에 새로운 메모리를 할당하고, 2) 스택의 값을 힙 메모리로 복사한 뒤, 3) 힙 메모리의 주소 값을 갖는 새로운 스택 메모리를 할당하는 과정을 거친다.
박싱은 딱 봐도 값 하나 옮기는데 메모리 참조를 엄청 많이 하는데, 이로 인해 시간적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언박싱의 경우도 비슷하다.
하지만 언박싱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는데, 바로 가비지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즉 언박싱은 그 자체로도 오버헤드가 있지만 가비지를 생성함으로 인해 GC를 동작시키는 잠재적 오버헤드까지 가진 셈이다.
마이크로소프트도 박싱과 언박싱의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다.
Console.WriteLine 메서드만 봐도 그렇다.
박싱과 언박싱을 사용한다면 object 타입의 매개변수를 받고 ToString 메서드만 호출해도 될 구조다.
하지만 실제로 WriteLine은 수많은 타입에 대해 오버로딩 되어있다.

박싱의 편리함을 가져가면서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

C# 2.0부터 제네릭(Generic)을 지원함으로써 박싱과 언박싱의 사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제네릭의 효과

BCL에서 제공되는 기본 컬렉션 중 하나인 ArrayList와 이에 대응되는 List<T>를 예로 설명하겠다.
ArrayList는 내부적으로 object의 배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타입에 상관없이 값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rrayList al = new ArrayList(); al.Add(1); // int al.Add("2"); // string al.Add(3.0f); // float
C#
복사
하지만 이는 값 형식의 데이터에 한해서 반드시 박싱을 일으키게 한다.
ArrayList를 메모리에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ArrayList는 값 자체를 저장할 수 없다.
값 자체는 object 타입으로 박싱되어 메모리 어딘가에 할당돼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rrayList는 박싱된 데이터의 주소를 배열에 저장한다.
만약 ArrayList를 박싱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각 타입별로 따로 정의해야 할 것이다. (IntArray, FloatArray, ...)
이는 중복되는 코드를 늘리는 굉장히 비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다.
제네릭이 추가되면서 한 번의 정의로 위의 박싱 문제와 코드 중복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List<T>는 내부적으로 T 타입의 배열을 가지고 있다.
List<int> list = new List<int>(); list.Add(1); list.Add(2); list.Add(3);
C#
복사
값 형식의 List를 선언할 경우 해당 값을 그대로 복사해오기 때문에 박싱이 일어나지 않는다.
비록 ArrayList와는 다르게 타입을 지정해야 되지만 제네릭 타입은 컴파일 타임에 정해지기 때문에 한 번의 정의로 여러 타입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List<float> floatList = new List<float>(); List<char> charList = new List<char>():
C#
복사

제약 조건 선언

foreach문 대신 for문을 쓰라던데?

foreach문 내부에서 박싱이 일어나기 때문에 foreach문은 최적화 관점에서 안좋다고 한다.
하지만 해당 이슈는 이미 예전에 리펙토링을 통해 해결됐으며 현재 둘의 성능적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한다.
이런 이슈가 발생한 이유는 struct인 Enumerator가 여러 interface를 상속받는데, interface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Enumerator가 struct인지 class인지 알 수가 없어서 전부 참조 형식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List와 Dictionary
C++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List는 vector, Dictionary는 unordered_map으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보통 면접에서는 List, Dictionary같은 C#의 컨테이너 클래스들을 사용해 봤는지 물어보게 됩니다. 그런 다음 내부 자료구조, 연산들에 대한 시간복잡도 이야기들이 오갈 수 있으니 알아두는게 좋습니다.
배열 자료구조
1.
Array -고정된 크기의 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는 컬렉션 -배열의 크기는 생성 시점에 결정, 변경 불가능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직접 액세스 가능 -다차원 배열도 지원
2.
List<T> -동적으로 크기가 조정될 수 있는 컬렉션 -요소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이 자유로움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직접 액세스 가능 -Generic으로 구현되어 타입 안정성 보장
3.
ArrayList -동적으로 크기가 조정될 수 있는 컬렉션 -요소의 추가, 삭제, 수정 등이 자유로움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직접 엑세스 가능 -박싱, 언박싱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음
Generic 자료구조
컨테이너
자료구조
List<>
배열
SortedSet<>
레드-블랙 트리
HashSet<>
해시 테이블
Dictionary<,>
해시 테이블
SortedList<,>
배열
SortedDictionary<,>
레드-블랙 트리
List는 C++의 vector와 유사하다
List는 C++의 vector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메모리에는 배열처럼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원소 삽입이 있을 때 List의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새 공간을 할당해 기존 원소들을 복사해 가기에 최대 O(N)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Remove의 경우 따로 용량 변화가 없습니다)
그럼 SortedSet은 set, HashSet은 unordered_set 이다
C++과 비교를 하면 제목과 같은 이야기가 오게 됩니다.
내부적으로 레드-블랙 트리를 사용하는 자료구조들의 경우 정렬된 완전 이진트리 이므로 삽입, 삭제에 있어서 O(logN) 시간이 소요되며 해시를 사용하는 자료구조들은 대부분 O(1)이지만 최악의 경우 O(N)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C++에서 map과 unordered_map의 차이를 참고해 주세요.
Dictionary vs SortedDictionary
대부분의 경우에서 성능은 Dictionary가 더 뛰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오래 전이지만 2008년의 자료를 보면 50000만개 삽입에는 Dictionary가 3배 빠르고, 검색에는 아주 근소한 차이로 SortedDictionary가 빠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때문에 항시 정렬된 상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외에는 Dictionary 사용이 더 좋습니다.

4.8 CLR

1) 개념
- CLR은 .NET Framework의 기본이자 .NET Framework의 VM(Virtual Machine, 가상머신) 요소이다.
- CLR은 JAVA 의 VM과 비슷한 역할을 하게된다.(애초 C#만들던 사람이 JAVA 흉내 좀 냄.)
자세한 내용은 (2020/04/09 - [Programming/C#] - [어원/C#] C#이란? - 3번 JAVA내용 확인)
- 즉, 우리가 작성한 소스코드(C#, C++ 등) 를 OS위에 있는 .NET Framework에서 작동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Figure 1.  CLR이 포함된 전체적인 구조>
2) CLR의 내부 구조
<Figure 2. Architecture of Common Language Runtime>
CLR 내부에는 Figure2에서 나타난 것처럼 여러개의 구성요소들이 있다. 하나씩 알아보겠다.
Base Class Library Support: CLR은 Base Class Library(BCL)를 지원한다. (Collections, I/O, XML, DataType definition 등)
Thread Support: CLR은 Multipe threads(다중 스레드)의 병렬 실행을 관리하기 위한 threads 지원을 제공한다.
COM Marshaller: [Mashaller(마샬러)란?: C#에 없는 것을 가져다 쓰게 해준다는 뜻...예상임.][COM(Componet Object Model)란?: Component 규약을 따르는 Microsoft 사가 주체가 되어 만든 표준. 즉 어떤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이루는 컴포넌트들(.ocx, .dll, .exe 등)이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이다.]
Type Checker: CLR안의 CTS(Common Type System)과 CLS(Common Language Specification)를 사용하여 형식 검사.
Exception Manager: .NET Language에 상관없이 예외를 처리한다.
Security Engine:  .NET framework에서 제공되는 툴을 이용하여 Code, Folder, Machine Level 단위로 보안 사용 권한을 처리한다.
Debug Engine: 응용프로그램은 Debug Engine을 통하여 런타임동안 디버그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되어 Code 관리 및 추적에 편한 ICorDebug 인터페이스가 있다.
JIT Compiler: CLR의 JIT 컴파일러는 마이크로소프트 중간 언어(Microsoft Intermediate Language, MSIL)를 JIT Compiler가 실행되는 컴퓨터 환경에 특정한 기계 코드로 변환한다. 컴파일된 MSIL은 필요한 경우 후속 호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JIT란? Just - In - Time 이다. '그순간' 이라는 뜻으로 위 내용과 같다.]
Code Manager: CLR의 코드 매니져는 .NET Framework에서 개발된 코드, 즉 Managed code를 관리한다. Managed code는 언어별 컴파일러에 의해 중간 언어로 변환된 후 JIT Compiler에 의해 중간 언어가 기계 코드로 변환된다.
Garbage Collector :CLR에서 Garbage Collector를 사용하여 자동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다. 가비지 수집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 공간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재할당이 가능하도록 한다.
CLR Loader: 다양한 Modules, resources, assemblies 등은 CLR Loader에 의해 로드된다. 또한, 이 로더는 프로그램 초기화 시간이 더 빠르고 소모되는 자원이 덜하도록 실제로 필요한 경우 모듈을 온디맨드 방식으로 로드한다. (온디맨드 방식이란? '요구가 있을 때는 언제든지' 라는 뜻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CLR은 단순히 C#이나 기타 언어들을 동작시키는 환경 기능 외에도, 프로그램의 오류(예외 등)가 발생 하였을 때 이를 처리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언어간의 상속 지원, COM과의 상호 운영성 지원, 자동 메모리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 해준다.
3)CLR의 동작원리
우리가 Source code를 작성하면 C# Compiler(Language Compiler)가 IL(Intermediate Language)(아래 그림에서는 MSIL을 뜻함)이라는 중간 언어로 작성된 실행 파일을 만들어 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이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CLR이 IL을 읽어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는 NativeCode로 컴파일(JIT Compiler 이용)한 후 실행시킨다.
이러한 방식의 장점은 바로 플랫폼에 최적화된 코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단점으로는 실행 시에 이루어지는 컴파일 비용의 부담이다. 허나 내가 만든 프로그램이 컴파일 비용의 부담없이 어떠한 기계에서도 평균의 성능을 내는 것과 컴파일 비용이 조금 부담스럽긴 해도 기계에 최적화되어 최고의 성능을 내는 것, 어느 쪽이 더 나은가 보면 보통 어떠한 기계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Figure 3. CLR 동작원리1>
<Figure 4. CLR 동작원리2>
4) C#에서 CLR의 위치.
<Figure 3. Role of CLR in the execution of a C# program>
C#으로 만든 프로그램은 CLR(Common Language Runtime) 위에서 실행되며, 자바 가상 머신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그림처럼 CLR은 .NET 라이브러리와 함께 OS 위에 설치됩니다.
네이티브 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가 직접 실행할 수 있지만, C# 컴파일러가 만들어낸 실행 파일은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없는 코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행할 수 없습니다.
C# 컴파일러는 C# 소스 코드를 컴파일해서 IL(Intermediate Language)이라는 중간 언어로 작성된 실행 파일을 만들어 냅니다.
사용자가 이 파일을 실행시키면 CLR이 중간 코드를 읽어 들여 다시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는 네이티브 코드로 컴파일한 후 실행시킵니다.
이것을 JIT(Just In Time) 컴파일이라고 부르며,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실행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컴파일해서 실행한다는 뜻입니다.
CLR은 C#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있기 때문에, 두번씩이나 컴파일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4.9 c# 리플렉션 (Reflection):

리플렉션(Reflection)은 어떤 Type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거나 접근하는 등의 작업을 런타임에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리플렉션을 사용하면 런타임에서 메서드를 호출하거나 필드의 값을 바꾸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C#에서 리플렉션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타입 정보 조회: 클래스, 메서드, 속성 등의 정보를 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 호출: 메서드 이름과 매개변수를 지정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필드 및 속성 접근: 필드와 속성 값을 읽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어셈블리 정보 조회: 어셈블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플렉션의 단점성능 오버헤드(Performance Overhead): Reflection은 유용한 기능입니다. 하지만 런타임에 Reflection API를 사용하여 알 수 없는 객체를 처리하는 과정은 성능적으로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Reflection을 사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합니다.보안 제한(Security Restrictions): Reflection은 컴파일 타임이 아닌 런타임 기능이므로 런타임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 때문에 Reflection를 사용한 소스코드가 실행할 수 없는 경우 무용지물이 될 수 있습니다.내부 노출(Exposure of Internals): Reflection을 사용하여 클래스의 메서드와 필드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이식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인 추상화를 위반합니다.